“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수(長壽)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수(長水)@박근효 - 박근효(朴根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우 박근제(朴根悌)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전란이 끝난 뒤 동지들과 힘을 모아 서적을 발간하는 등 문교 진흥에 힘씀.
1550~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장수(長水)@소수 - 소수(蘇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세양(蘇世讓)의 아들. 음사(蔭仕)로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1517~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장수부(張水部) - 장적(張籍)@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 한유(韓愈)의 추천으로 국자박사(國子博士)가 되었으나 눈이 멀어 높은 벼슬에 오르지 못하자 자신의 불만과 인간의 고통을 반영하는 악부체의 시와 오언율시 등을 지음.
766?~83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장수양(張睢陽) - 장순(張巡)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장수.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수양 태수(睢陽太守) 허원(許遠), 부하인 남제운(南霽雲), 뇌만춘(雷萬春) 등과 함께 수양성(睢陽城)을 지키다가 전사함. 양주 대도독(揚州大都督)에 추증됨.
708~75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장숙흠효(章肅欽孝) - 인종(仁宗)@조선
조선 제12대 왕. 재위 1544~1545.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희생된 조광조(趙光祖)ㆍ김정(金淨)ㆍ기준(奇遵) 등을 신원(伸寃)하고 현량과(賢良科)를 부활시킴.
1515~154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순(莊順)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순왕(莊順王)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안광객(長安狂客) - 이의무(李宜茂)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편찬에 참여하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홍주 목사(洪州牧使) 등을 지냄. 시문(詩文)에 능하고 청빈하다는 평을 들음.
1449~15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장안향후(長安鄕侯) - 조절(曹節)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영제(靈帝) 때의 환관. 환관 왕보(王甫)와 함께 진번(陳蕃)ㆍ두무(竇武)ㆍ이응(李膺) 등을 살해하고 청류세력을 탄압하여 제2차 당고(黨錮)의 화(禍)를 일으킴.
?~18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장암(場巖) - 성몽정(成夢井)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담년(成聃年)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
147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암(長岩) - 기벌포(伎伐浦)
금강(錦江) 하구인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 장항읍(長項邑) 일대로 추정되는 백제 때의 지명. 백제의 국방상 요충지로, 사비성(泗沘城)을 지키는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함.
한국>백제 , 충청도>서천 , 지명>자연지명
-
장암어수고(場巖漁叟稿) - 범허정집(泛虛亭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상진(尙震)의 시문집(詩文集). 1942년에 상위(尙渭)가 9권 4책의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함.
1942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장양(莊襄)@홍사석 - 홍사석(洪師錫)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종 때 사신으로 세 차례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경상도 처치사(慶尙道處置使)로 재직할 때 왜구 정벌에 나섰다가 참패하여 관작을 추탈당하고 유배됨.
?~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장양(莊襄)@정윤겸 - 정윤겸(鄭允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에 발탁됨.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명(明) 나라를 약탈하고 돌아가는 왜구를 격멸함.
1463~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장양(莊襄) - 이종생(李從生)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벌할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경상우병사(慶尙右兵使) 등을 역임함.
1423~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장양부정(長陽副正) - 이주(李儔)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翼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단천부정(丹川副正) 이수곤(李壽鵾)의 두 번째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장어신(葬魚臣) - 굴원(屈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ㆍ시인. 회왕(懷王)의 좌도(左徒)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政敵)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汨羅水)에 투신하여 죽음.
B.C.343~B.C.27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경대부
-
장연(長延) - 연풍(延豊)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소백산맥(小白山脈) 기슭에 자리잡은 분지(盆地)로, 조선시대 중요한 군사적 지역이었음.
충청도>연풍 , 지명>행정지명
-
장연개국백(長淵開國伯) - 문정(文正)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오산군(烏山君) 문장창(文章昶)의 아들. 수충 찬화공신(輸忠贊化功臣)에 책록되었고, 선종(宣宗)의 묘정(廟庭)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