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평부정(長平副正) - 이흔(李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장남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장평정(長平正) - 이흔(李訢)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장남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의 다섯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장평후(長平侯) - 위청(衛靑)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장군. 무제의 후(后)인 위자부(衛子夫)의 동생으로, 일곱 차례의 흉노(匈奴) 정벌에 전공을 세워 대장군(大將軍)에 올랐으며, 곽거병(霍去病)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됨.
?~B.C.10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장포(獐浦) - 연천(漣川)
경기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구석기ㆍ신석기 시대의 유물ㆍ유적이 대량 발굴됨.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장포(長浦) - 김행(金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국평(金國枰)의 아들이고, 백인걸(白仁傑)ㆍ성수침(成守琛)의 문인(門人). 사도시 정(司䆃寺正)과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글씨와 무예에도 뛰어났음.
1532~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장포(長浦)@이효원 - 이효원(李效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이관(李瓘)의 아들.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냈으며, 광해군(光海君)을 폐위시키고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거제도로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풀려남.
1550~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충청도>청양 , 인명>관인>문신
-
장포조도(長浦釣徒) - 김행(金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국평(金國枰)의 아들이고, 백인걸(白仁傑)ㆍ성수침(成守琛)의 문인(門人). 사도시 정(司䆃寺正)과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글씨와 무예에도 뛰어났음.
1532~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장풍령(長豐令) - 이문창(李文昌)
조선 전기의 종친. 임당(林塘) 정유길(鄭惟吉)의 외증조부로, 장풍령(長豐令)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장한노(張翰鱸)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장한순(張翰蓴)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장한순로(張翰蓴鱸)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장한회(張翰膾)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장함(獐含) - 의령(宜寧)
경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는 함안(咸安), 서쪽으로는 삼가(三嘉)에 접해 있음.
경상도>의령 , 지명>행정지명
-
장행인(張行人) - 장승헌(張承憲)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45년(인종 1)에 황제의 고명(告命)을 받들고 와서 중종(中宗)의 국상(國喪)에 대해 제전(祭奠)과 시호(諡號) 및 부의(賻儀)를 전하였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헌(莊憲)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헌(莊憲)@왕증 - 왕증(王烝)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아들. 제13대 선종(宣宗)의 동생으로, 태위 겸 중서령(太尉兼中書令)을 지내고, 학술에 뛰어났다고 함.
?~109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장헌(莊獻) - 문중달(文仲達)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평서개국군(平西開國君) 문정(文挺)의 아들로, 이부 상서(吏部尙書)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장헌(莊獻)@기자오 - 기자오(奇子敖)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철(奇轍)의 아버지. 음보(蔭補)로 총부산랑(摠部散郞)을 지내고, 원(元) 나라 순제(順帝)의 황후가 된 막내딸 기황후(奇皇后)로 인해 원 나라로부터 영안왕(榮安王)에 추봉(追封)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장헌대왕(莊憲大王)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장헌세자예제(莊憲世子睿製) - 능허관만고(凌虛關漫稿)
조선의 제22대 정조(正祖)가 아버지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문적을 모아 편찬한 문집. 정조가 직접 편찬ㆍ교정하여 순조(純祖) 때 간행함.
181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