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재비(宰嚭) - 백비(伯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태재(太宰). 월(越) 나라의 뇌물을 받고 오자서(伍子胥)를 모함하여 죽게 하였으나, 월 나라에 투항한 후 죽임을 당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재사당(再思堂) - 이원(李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장류(杖流)되었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참형당함. 문장에 능하고, 특히 행의(行義)로 추앙받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재사당선생일집(再思堂先生逸集) - 재사당일집(再思堂逸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원(李黿)의 문집. 초간본은 후손 이인엽(李寅燁)이 유고를 모아 1698년(숙종 24) 《익재집(益齋集)》에 부편(附編)하여 간행함. 이후 후손 이종형(李鍾泂) 등이 시문 약간 편을 보태어 1939년에 중간함. 2권 1책 석인본.
169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재사당집(再思堂集) - 재사당일집(再思堂逸集)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원(李黿)의 문집. 초간본은 후손 이인엽(李寅燁)이 유고를 모아 1698년(숙종 24) 《익재집(益齋集)》에 부편(附編)하여 간행함. 이후 후손 이종형(李鍾泂) 등이 시문 약간 편을 보태어 1939년에 중간함. 2권 1책 석인본.
169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재선(在先) - 박제가(朴齊家)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실학자. 시문 사대가(詩文四大家)의 한 사람으로, 박지원(朴趾源)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 등과 함께 북학파(北學派)를 이룸. 저서에 《북학의(北學議)》ㆍ《정유고략(貞蕤稿略)》 등이 있음. 춘당대 무과(春塘臺武科)에 장원하여 오위장(五衛將)ㆍ영평 현감(永平懸監) 등을 지냄.
1750~1805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재성(在城) - 반월성(半月城)
신라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쌓은 성. 원래 호공(瓠公)의 거주지였던 것을 탈해(脫解)가 꾀를 써 빼앗고, 파사이사금이 성을 쌓아 신라의 궁성으로 사용함.
101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성,진,책
-
재숙(載叔) - 임담(林墰)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남한산성에 들어가 총융청 종사관(摠戎廳從事官)이 되어 남격대(南格臺)를 수비함. 유탁(柳濯)의 난을 평정하여 토지를 하사받았으나 사양함.
1596~16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재숭(載崇) - 성재숭(成載崇)
조선 헌종(憲宗) 때의 문인. 헌종 때 《허백당집(虛白堂集)》을 중간(重刊)하면서 창녕성씨(昌寧成氏)의 종장(宗丈)으로서 발문(跋文)을 지음.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
-
재아(宰我) - 재여(宰予)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어학에 뛰어나 제(齊) 나라의 임묘 대부(臨苗大夫)가 되었음.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자공(子貢)과 함께 변설(辯舌)로 유명함.
B.C.522~B.C.45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우(再祐) - 곽재우(郭再祐)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무신ㆍ의병장. 본관은 현풍(玄風). 곽월(郭越)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화왕산성(火旺山城)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
1552~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재운(載雲) - 교동(喬桐)
경기(京畿)에 위치한 고을 이름. 현재 인천시 강화(江華) 서북쪽에 있는 섬 지역임.
경기도>교동 , 지명>행정지명
-
재원(載元) - 이재원(李載元)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정응(李晸應)의 아들로, 이창응(李昌應)에게 출계함. 교련국(敎鍊局)에 배치되어 근대식 군부의 기초를 마련하고, 갑신정변(甲申政變) 때 영의정(領議政)에 추대되었으며, 사후(死後)에 완림군(完林君)에 봉해짐.
1831~1891 한국>근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재이(載邇) - 서필원(徐必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김집(金集)ㆍ정홍명(鄭弘溟)의 문인으로, 강화 유수(江華留守) 등을 지냄.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재자(在玆) - 문재자(文在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증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 심연(沈演)을 따라 의병을 일으켰고, 공을 세워 조정에서 선전관(宣傳官)으로 추천받았지만 나아가지 않음.
1602~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무신
-
재전부정(梓田副正) - 이효온(李孝溫)@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평군(義平君) 이원생(李元生)의 아들이자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철산(金鐵山)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재전정(梓田正) - 이효온(李孝溫)@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의평군(義平君) 이원생(李元生)의 아들이자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김철산(金鐵山)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재중(在中) - 허금(許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낸 허경(許絅)의 아들. 이인복(李仁復)의 문하에서 급제하여 예의 정랑(禮儀正郞)ㆍ전리 판서(典理判書) 등을 지내고, 우왕 옹립에 반대함.
1340~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재중(在中)@박재중 - 박재중(朴在中)
고려 후기의 문신. 이색(李穡)의 《목은문고(牧隱文稿)》에 그에게 당호(堂號)의 기문(記文)으로 써 준 〈국간기(菊澗記)〉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재중(載仲) - 이민채(李敏采)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영의정(領議政) 이경여(李敬輿)의 아들이자 이이명(李頤命)의 아버지로, 지평(持平)을 지냄.
163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재지(宰之) - 최재(崔宰)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로 성품이 강직함. 전리 판서(典理判書)ㆍ개성 윤(開城尹)을 지낸 뒤, 벼슬을 사퇴하고 낙향함.
1303~13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