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재지(載之)@배맹후 - 배맹후(裵孟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로, 감찰(監察)을 지낸 배진(裵縉)의 아들.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강직한 성품으로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고 불교를 배척하였음.
1448~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재지(載之) - 권재(權載)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재천정(在川亭) - 성횡(成鐄)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셋째 아들로, 아버지의 학통(學統)을 계승하고 수양(修養)에 힘씀.
158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재청(載淸)@김익 - 김익(金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 김양준(金良俊)의 아들로, 김양보(金良輔)에게 출계(出系)함.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재청(載淸) - 유질(柳洷)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함안 군수(咸安郡守)를 지냈으며,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재택(梓澤) - 금곡원(金谷園)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현(洛陽縣)에 석숭(石崇)이 지은 별장 이름. 진(晉) 나라 거부인 석숭(石崇)이 이곳에서 자주 잔치를 베풀었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기타건물
-
재헌(在軒)@황공소 - 황공소(黃公紹)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 송 나라 말기에 진사가 되었으나 원 나라가 들어서자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저서에 《고금운회(古今韻會)》가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헌(在軒) - 유려(劉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지(劉砥)의 동생으로, 형과 함께 주희(朱熹)를 스승으로 섬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재협(在協) - 이재협(李在協)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병조 판서 이경호(李景祜)의 아들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후 정조 때 영의정 등을 지냄.
1731~179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재홍(在弘) - 이재홍(李在弘)
고려 후기의 은자.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ㆍ김석주(李錫周)ㆍ김대윤(金大潤) 등과 함께 충의(忠義)로 결의를 맺은 ‘팔은(八隱)’ 중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재황(載晃) - 고종(高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3대 황제. 재위 649~683. 전장(典章) 제도를 마무리하였으며, 병이 들자 황후인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정사를 맡김.
628~68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쟁(崝)@박쟁 - 박쟁(朴崝)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ㆍ도총관(都摠管) 등을 지냄. 성삼문(成三問)ㆍ박팽년(朴彭年) 등과 단종의 복위를 꾀하며 세조ㆍ한명회(韓明澮)ㆍ권람(權擥)ㆍ정인지(鄭麟趾) 등을 죽이려고 모의했으나 김질(金礩)의 밀고로 체포되어 친국을 받고 사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쟁(崝) - 이쟁(李崝)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맏아들.
1458~151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쟁(崢) - 이쟁(李崢)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셋째 아들.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쟁지(崢之) - 이쟁(李崢)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손자이며,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의 셋째 아들.
1464~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저(䃴) - 김저(金䃴)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세필(金世弼)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가 1570년(선조 3)에 복권됨.
1512~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저(抵) - 윤저(尹抵)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태조 때 형조 전서(刑曹典書)로서 고려 왕족을 강화(江華) 나루에 수장(水葬)하는 데 앞장섰으며, 태종 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함.
?~14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저(著) - 배저(裵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대구(大邱). 1492년(성종 2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배익신(裵益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유학
-
저(褚) - 기저(奇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축(奇軸)의 아들로, 1490년(성종 2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저강(褚康) - 저량(褚亮)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저수량(褚遂良)의 아버지이며, 방현령(房玄齡)ㆍ두여회(杜如晦) 등과 함께 문학관(文學館)에서 전적을 강론하던 18학사의 한 사람으로, 산기상시(散騎常侍) 등을 지냄. 저서로 《저량집(褚亮集)》이 있음.
560~647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