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적(頔) - 민적(閔頔)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이 국선(國仙)이라 불렀으며, 대사헌(大司憲)으로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온 뒤 여흥군(驪興君)에 봉해졌음.
1269~133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적(頔)@임적 - 임적(林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유학 임수정(林秀亭)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적(𤁰) - 이적(李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장남. 1469년(예종 1) 6세에 연성군에 봉해지고, 중종 때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가 되어 문소전(文昭殿)ㆍ연은전(延恩殿)ㆍ영경전(永慶殿)과 종친부 제조를 지냄.
1464~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적계(籍溪) - 호헌(胡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조카로, 초정(譙定)의 제자이며 주희(朱熹)의 스승.
1068~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적계선생(籍溪先生) - 호헌(胡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안국(胡安國)의 조카로, 초정(譙定)의 제자이며 주희(朱熹)의 스승.
1068~116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적곡(赤谷) - 성승(成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삼문(成三問)의 아버지로 도총관(都摠管)을 지냄.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적기(赤驥)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적덕(積德) - 덕천군(德泉君)
조선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 가난한 백성을 돕고, 왕자의 신분에도 공주(公州)에 전장(田莊)을 두고 몸소 농사를 지음.
1397~14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왕실>왕자
-
적돈(賊旽) - 신돈(辛旽)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僧侶). 공민왕의 신임을 얻어 사부(師傅)로서 국정을 맡음. 정치개혁을 단행하고 민심을 얻었으나 권문세족의 공격을 받아 반역의 혐의로 처형됨.
?~137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종교인>승려
-
적두찬(赤頭璨) - 승찬(僧璨)
중국 남북조시대 서위(西魏)~수(隋) 나라 때의 선승(禪僧). 중국 선종의 삼조(三祖)로, 이조(二祖) 혜가(慧可)에게서 법을 이어받은 후 도신(道信)에게 법을 전함.
?~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등진강(赤登津江) - 금강(錦江)
전라북도 장수(長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群山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적라(赤羅) - 군위(軍威)
경상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대구(大丘)와 안동(安東)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임.
경상도>군위 , 지명>행정지명
-
적로(適老) - 조신(曺伸)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역관ㆍ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司譯院正)에 특선(特選)되었고, 명(明) 나라에서 시(詩)로 이름을 날림. 조위(曺偉)의 서제(庶弟)이며, 김종직(金宗直)의 처남.
145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산 , 인명>관인>역관ㅣ인명>관인>문신
-
적망(賊莽)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적묘수(荻苗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적벽강(赤壁江) - 적벽(赤壁)
중국 호북성(湖北省) 양자강(揚子江) 남쪽 강가의 이름. 적벽대전(赤壁大戰)의 싸움터이며, 송(宋) 나라의 문인인 소식(蘇軾)이 이곳을 거닐다가 지은 적벽부(赤壁賦)가 유명함. 강변 바위에 주유(周瑜)가 썼다고 하는 글자가 남아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적벽선(赤壁仙)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적봉(寂峯) - 신원(信圓)
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혜근(惠勤)의 법손(法孫)이며 자초(自超)의 문도로, 혜근의 발자취를 따라 중국 강남(江南)을 유력(遊歷)했다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적선(謫仙)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적선(謫仙)@이사필 - 이사필(李士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공려(李公礪)의 아들로, 명종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성주 목사(星州牧使) 재임 중에 기민 구제와 전염병 퇴치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