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적용(賊鏞) - 김용(金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공민왕을 시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형당함.
?~136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무신
-
적우(賊雨) - 보우(普雨)
조선 명종(明宗) 때의 승려. 금강산 마하연암(摩訶衍庵)에서 참선(參禪)하고 경학(經學)을 연구했으며,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奉恩寺) 주지(主持)가 됨. 선교 양종(禪敎兩宗)을 부활시켰으며, 도첩제(度牒制)에 의한 승과(僧科)를 설치함.
1509~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종교인>승려
-
적음(寂音) - 연사(演師)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元天錫)과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자(赤髭)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자비야사(赤髭毗耶沙)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자비야사(赤髭毗邪沙)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 - 각명(覺明)
고대 인도의 승려. 407년 중국 장안(長安)에 들어왔으며, 얼굴의 윗수염이 붉어지고 〈비파사론(毗婆沙論)〉을 좋아하였으므로 ‘적자비파사(赤髭毗婆沙)’라고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ㅣ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적재(迪齋) - 김진(金稹)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김사원(金士元)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함.
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적제자(赤帝子)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적조(寂照) - 지증(智證)
신라 문성왕(文聖王)~헌강왕(憲康王) 때의 승려. 문경(聞慶) 희양산(曦陽山)에 절을 창건하자 헌강왕이 봉암사(鳳巖寺)라는 사액을 내려 주었는데, 이곳에 머물다 입적하였음. 최치원(崔致遠)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인 희양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비(曦陽山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가 남아 있음.
824~882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문경 , 인명>종교인>승려
-
적촌(赤村) - 단성(丹城)
경상남도 산청(山淸)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조선 세종(世宗) 때 단계(丹溪)와 강성(江城)이 합해서 이루어짐.
경상도>산음 , 지명>행정지명
-
적현(赤縣) - 봉선(奉先)
중국 섬서성(陜西省) 포성현(蒲城縣)의 지명. 두보(杜甫)의 시 ‘자경부봉선영회오백자(自京赴奉先詠懷五百字)’로 유명해짐.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적혼(赤鯶)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적혼공(赤鯶公)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적혼자(赤鯶子) - 이어(鯉魚)
잉어. 효성(孝誠)ㆍ서신(書信)ㆍ길몽(吉夢)ㆍ입신출세(立身出世)를 뜻하는 상징물로 많이 쓰임.
자연물>동물
-
적회(賊檜) - 진회(秦檜)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남침을 거듭하는 금(金)에 대처하여 금과 남송이 중국을 남북으로 나누어 영유하기로 합의함. 정권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억압하여 간신으로 낙인찍힘.
1090~11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적훤(賊萱) - 견훤(甄萱)
후백제(後百濟)의 시조. 재위 892~935. 본래 성은 이씨(李氏)였으나 뒤에 견씨(甄氏)라 함.
867~936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ㅣ전라도>광산 , 인명>왕실>국왕
-
전(㙉)@유전 - 유전(柳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상서원 직장(尙瑞院直長) 유예선(柳禮善)의 아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31~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㙉) - 노전(盧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광주 목사(廣州牧使) 노한문(盧漢文)의 아들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 노준(盧埈)의 형으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전(㙉)@김전 - 김전(金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배웠으며, 문학으로 이름이 남.
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