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전성(塡星) - 토성(土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중앙(中央)을 상징하는 별. 28년마다 하늘을 한 바퀴 도는데, 해마다 이십팔수(二十八宿) 중의 한 별자리를 채우는 데서 ‘진성(鎭星)’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전성(氈城) - 온성(穩城)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우리나라 최북단의 고을로, 서ㆍ북ㆍ동쪽에 두만강(豆滿江)을 국경으로 하여 중국 길림성(吉林省)과 마주하고 있음.
함경도>온성 , 지명>행정지명
-
전성군(全城君)@이준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성군(全城君)@이서장 - 이서장(李恕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한성부윤(漢城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성군(全城君)@이대 - 이대(李薱)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현손이며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의 아들로, 용강 현령(龍岡縣令)ㆍ돈녕부 주부(敦寧府主簿) 등을 지냄.
1488~154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전성군(全城君)@이예장 - 이예장(李禮長)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안숭선(安崇善)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류(杖流) 되었다가 풀려났으며, 세조를 도운 공로로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6~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전성부원군(全城府院君) - 이사관(李士寬)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효정공(孝靖公) 이정간(李貞幹)의 아들로, 한성 판윤(漢城判尹) 등을 지냄. 아들인 이의장(李義長)ㆍ이예장(李禮長)ㆍ이지장(李智長)ㆍ이함장(李諴長)ㆍ이효장(李孝長)ㆍ이서장(李恕長)이 모두 과거에 급제함.
1382~144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전성이씨(全城李氏)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전속국(典屬國) - 소무(蘇武)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충신. 무제 때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었으나 절개를 지키다가 19년 만에 돌아와 전속국(典屬國)이 되었으며, 후에 선제를 옹립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짐.
?~B.C.6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전손(顓孫)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손자(顓孫子) - 전손사(顓孫師)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송(宋) 나라 이후 공문십철(孔門十哲)로 성묘(聖廟)에 종향(從享)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수(專粹) - 이전수(李專粹)
조선 전기의 유학(幼學). 보한재(保閑齋) 신숙주(申叔舟)와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문사>유학
-
전수장(傳首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전숙(錢俶) - 충의왕(忠懿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의 마지막 왕. 재위 947~978. 송(宋) 태종(太宗)에게 13주(州)를 바치고 등왕(鄧王)에 봉해짐.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전숙왕(錢肅王)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전십장(傳十章) - 대학(大學)
유교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예기(禮記)》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宋) 나라의 사마광(司馬光)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대학광의(大學廣義)》를 만들었고, 송 나라의 주희(朱熹)가 《대학장구(大學章句)》를 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전씨대제(田氏代齊) - 전화(田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86~B.C.384. B.C.391년에 강공(康公)을 몰아내고 스스로 군위(君位)에 올라 B.C.386년에 주(周) 천자로부터 제후로 인정받음. 이 일로 제 나라 제후의 성이 바뀌었다 하여 일명 '전씨대제(田氏代齊)'로 불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전야(全也) - 도전(道全)
조선 전기의 승려. 《소재집(穌齋集)》에 〈증승도전(贈僧道全)〉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전야산(轉也山)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전양(前羊) - 양호(羊祜)
중국 남북조시대 서진(西晉)의 무신. 상서좌복야(尚書左伏射)로 형주(荊州)에 주둔하던 10년 동안 둔전을 실시하고 군량을 비축하는 등 오(吳) 나라를 치기 위한 준비를 했으나 실현하지 못함.
221~2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