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절간(絶磵) - 익륜(益倫)
고려 후기의 승려. 천보산(天寶山) 회암사 주지(檜巖寺住持)로 있으면서 목은(牧隱) 이색(李穡),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절두산(切頭山) - 잠두봉(蠶頭峯)
서울 마포 일대의 한강변에 위치한 산 이름.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 의해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면서 이 곳에서 많은 신자들이 참수당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절류곡(折柳曲) - 절양류곡(折楊柳曲)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정남장군(征南將軍) 환이(桓伊)가 지은 악부(樂府). 버들가지를 꺾으면서 이별하는 아쉬운 정을 노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절문(切問) - 박절문(朴切問)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정난공신(靖難功臣) 밀산군(密山君) 박중손(朴仲孫)의 아버지로, 교서 정자(校書正字)를 지내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됨.
139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절민(節愍) - 조숭문(趙崇文)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부정(副正) 조유(趙瑜)의 아들. 성삼문(成三問) 등의 단종(端宗) 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아들 조철산(趙哲山)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무신
-
절부(節夫) - 한탁주(韓侂冑)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여주 방어사(汝州防御使)ㆍ태사(太師) 등을 지냈으나, 재상 조여우(趙汝愚)를 배척하고 주희(朱熹)의 이학(理學)을 위학(僞學)으로 모는 등 국정을 천단함. 북벌(北伐)을 주장하여 출병하였다가 실패하자 사미원(史彌遠)에게 죽임을 당함.
1152~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절비(節妃)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절비한씨(節妃韓氏)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절신(節信) - 왕부(王符)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인. 난세(亂世)에 세속과 영합하지 않고 은거하였으며 《잠부론(潛夫論)》을 지어 당시의 득실(得失)을 논함. 마융(馬融)ㆍ두장(竇章)ㆍ장형(張衡)ㆍ최원(崔瑗) 등과 교유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절암(絶菴) - 해초(海超)
조선 세조(世祖) 때의 승려. 《월인석보(月印釋譜)》를 편찬하고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을 교정하였으며, 신숙주(申叔舟)ㆍ김시습(金時習) 등이 그를 읊은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절야화(切也火)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절요(節要)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조선 문종(文宗) 때 김종서(金宗瑞) 등이 왕명으로 찬수(纂修)한 고려에 관한 편년체(編年體) 역사서. 기전체(紀傳體)인 《고려사(高麗史)》와 함께 고려에 관한 기본사료.
14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절요서(節要書)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절의(節義) - 유성원(柳誠源)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ㆍ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 등을 지냄.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성삼문(成三問) 등과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 발각되자 성균관에서 자결함.
?~145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절재(節齋)@채연 - 채연(蔡淵)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채침(蔡沈)의 형으로, 《역상의언(易象意言)》ㆍ《주역경전훈해(周易經傳訓解)》를 저술함.
1156~123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절재(節齋)@유천봉 - 유천봉(劉天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 유창(劉敞)의 아버지로, 안악 군사(安岳郡事)를 지내고 충근익대수의협찬보조공신(忠勤翊戴守義協贊褓祚功臣)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절재(節齋) - 김종서(金宗瑞)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진(六鎭)을 설치하여 두만강(豆滿江)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정함. 단종을 보필하다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참살당함.
1383~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절재채씨(節齋蔡氏) - 채연(蔡淵)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학자. 채원정(蔡元定)의 아들이며 채침(蔡沈)의 형으로, 《역상의언(易象意言)》ㆍ《주역경전훈해(周易經傳訓解)》를 저술함.
1156~123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절지(節之) - 금의(琴儀)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봉화금씨(奉化琴氏)의 시조. 학문과 문장에 뛰어나 지공거(知貢擧)로 있을 때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오름.
1153~123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절함견거(折檻牽裾) - 견거절함(牽裾折檻)
소매를 끌어당기고 난간을 부러뜨림. 삼국시대에 위 문제(魏文帝)의 옷자락을 끌어당기며 간언한 신비(辛毗)와, 한 성제(漢成帝) 때 끌려 나가면서 붙잡은 난간이 부러질 때까지 간언한 주운(朱雲)의 고사에서 온 말로, 임금의 위세에 굴하지 않고 직간(直諫)함을 뜻함.
중국>삼국시대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