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炡)@신정 - 신정(申炡)
조선 후기의 유학. 숙함(叔咸) 송덕상(宋德相)의 문인으로, 역적으로 몰린 송덕상을 신원하기 위해 몰래 일을 꾸미다 발각되어 귀양감.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정(炡) - 박정(朴炡)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선(朴東善)의 아들로,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이 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ㆍ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등을 지냄.
1596~163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珽) - 김정(金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정(金淨)의 문인(門人). 중부 참봉(中部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호은정(壺隱亭)을 지어 놓고 소요함.
150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珽)@장정 - 장정(張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무재(武才)를 발휘하여 이름을 떨쳤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진성대군(晉成大君)의 사저를 호위한 공으로 정국 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음.
?~150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정(珽)@안정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정(珽)@이정 - 이정(李珽)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익하(李翊夏)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지냄.
1659~169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정(珽)@박정 - 박정(朴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충좌(朴忠佐)의 아들로, 찬성(贊成)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정(禎)@이정 - 이정(李禎)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운후(李云侯)의 아들로, 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영변부 판관(寧邊府判官) 때 건주위(建州衛)의 침략에 대비하고 모련위(毛憐衛) 정벌 때 공을 세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보 , 인명>관인>무신
-
정(禎)@노정 - 노정(盧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예문관 응교(藝文館應敎) 노분(盧昐)의 손자이며, 대사헌(大司憲)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양희(梁喜)ㆍ이후백(李後白)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의 삼걸(三傑)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정(禎) - 김정(金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언거(金彦琚)의 아버지로, 의주 교수(義州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綎) - 유정(劉綎)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유현(劉顯)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참전하여 동일원(董一元)과 함께 제독(提督)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크게 활약함. 후에 요동(遼東)에서 후금(後金)을 정벌하던 중 전사함.
?~161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証) - 문정(文証)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순평부원군(順平府院君) 문유필(文惟弼)의 아들로, 검교추밀원사(檢校樞密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정(貞) - 누사덕(婁師德)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문신. 재상(宰相)으로 있으면서 30여 년 동안 정사를 돌보고 변방의 요지(要地)를 총괄함. 인덕(仁德)을 지녀 칭송을 받음.
630~6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貞)@유정 - 유정(柳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파직되고,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되었음.
1491~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정(貞)@주모 - 주모(周謨)@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주의(周顗)ㆍ주숭(周嵩)의 아우로, 소부(少府)ㆍ중호군(中護軍)을 지내고 서평후(西平侯)에 봉해짐.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貞)@심정 - 심정(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해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고 화천군(花川君)에 봉해졌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을 숙청함.
147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貞)@사마정 - 사마정(司馬貞)
중국 당(唐)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사학자. 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냈으며, 《사기(史記)》의 주석서인 《사기색은(史記索隱)》을 저술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貞)@민정 - 민정(閔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참군(參軍) 민징원(閔澄源)의 아들이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민상안(閔祥安)의 아버지. 1450년(문종 즉위)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ㆍ원주 목사(原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정(鋥) - 이정(李鋥)
조선 후기의 종친. 종종(中宗)의 여덟 째 아들인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장남이며, 선조(宣祖)의 형. 임진왜란 때 분의복수군(奮義復讐軍)에 가담하여 적극 활약하였음.
1545~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霆) - 이정(李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현손이자, 익주군(益州君) 이지(李枝)의 아들로, 석양군(石陽君)에 봉해짐. 시ㆍ서ㆍ화에 능하고, 특히 묵죽화(墨竹畫)에 뛰어나 명성을 떨침.
1541~162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