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靖)@서정 - 서정(徐靖)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이천(利川).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 서균(徐鈞)의 아버지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이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관인>문신
-
정(靖) - 선왕(宣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1대 왕. 재위 B.C.827~B.C.782. 여왕(厲王)이 쫓겨난 지 10여 년 후에 즉위함. 선대 여러 왕의 유업을 계승하여 제후들로부터 추대를 받고 중흥의 시기를 누리기도 하였으나, 만년에 정치를 게을리하여 국운이 쇠함.
?~B.C.782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정(靖)@조선 - 이정(李靖)@조선
조선 전기의 종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넷째 아들인 고정부정(古丁副正) 이겸(李謙)의 외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靖)@당 - 이정(李靖)@당
중국 수(隋) 말~당(唐) 초의 명장. 처음에는 수 나라를 섬겼으나, 당 나라 태종(太宗) 때 행군총관(行軍總管)이 되어 돌궐(突厥) 등 서역(西域)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움.
571~649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鼎)@남정 - 남정(南鼎)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1462년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한 후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지냈음. 김종직(金宗直)의 《점필재집(佔畢齋集)》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정(鼎) - 김정(金鼎)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양광전라 찰방사(楊廣全羅察訪使)를 지냈으며,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광성군(光城君)에 봉해졌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鼎)@윤정 - 윤정(尹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고 특히 《주역(周易)》에 뛰어났으며, 민기(閔箕)ㆍ허엽(許曄)ㆍ이항(李恒)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함.
1490~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
-
정^곤(貞^袞) - 곤^정(袞^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남곤(南袞)과 심정(沈貞)을 함께 부르는 말.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킨 주역으로,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 사류와 대립하는 훈구파(勳舊派)의 대표 인물.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ㅣ경상도>안동 , 사상>술어>관용어
-
정^노(鄭^盧) - 노^정(盧^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인 노식(盧植)과 정현(鄭玄)을 함께 부르는 말. 모두 마융(馬融)의 제자로, 흔히 후한의 명유(名儒)를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모(鄭^毛) - 모^정(毛^鄭)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모형(毛亨)과 후한(後漢)의 학자 정현(鄭玄)을 함께 부르는 말. 《시경(詩經)》의 대표적인 주석가(註釋家)를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가(正嘉) - 송서(宋瑞)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분(宋玢)의 아들로, 조일신(趙日新)이 인사를 천단할 때 우정승(右政丞)을 지냄.
?~135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정가(靜可) - 이열도(李閱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굉(李宏)의 아들로, 종조부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76년(선조 9)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3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정각(丁閣) - 정자각(丁字閣)
제전(祭殿)ㆍ왕릉(王陵)ㆍ원(園) 등의 바로 앞에 짓는 ‘정(丁)’ 자 형태의 침전(寢殿).
유적>건물>기타건물
-
정각국사(靜覺國師) - 지겸(志謙)
고려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승려.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낸 전의(田毅)의 아들로,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왕사(王師)가 되어 선종(禪宗)을 크게 진흥시킴.
1145~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종교인>승려
-
정간(定簡) - 최현(崔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전주(全州).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선조실록(宣祖實錄》편찬에 참여하고,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지냄.
1563~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간(正簡) - 이수언(李秀彦)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대사헌(大司憲)ㆍ지중추부 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며 이선(李選)ㆍ이이명(李頤命)ㆍ이여(李畬)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老論)으로 꼽힘.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배향됨.
1636~169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간(正簡)@이선 - 이선(李選)@조선후기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우의정(右議政) 이후원(李厚源)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1673년(현종 14)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시제(時祭)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의 신원(伸寃)을 상소함.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還局) 때 기장(機張)에 유배되었다가 죽음.
1632~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幹) - 이정간(李貞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원종공신(原從功臣) 이구직(李丘直)의 맏아들로, 음보(蔭補)로 등용되어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냄.
1360~14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허후 - 허후(許詡)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허조(許稠)의 아들로,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황보인(皇甫仁)ㆍ김종서(金宗瑞) 등과 함께 단종을 보위하다가,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거제도(巨濟島)에 유배된 후 교살(絞殺)됨.
?~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정간(貞簡)@정문 - 정문(鄭文)
고려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인 정배걸(鄭倍傑)의 아들로, 10여 년 동안 형조(刑曹)를 맡아 일을 잘 처리함. 송(宋)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110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