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곡(靜谷)@임권 - 임권(任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김안로(金安老)의 폐정(弊政)을 논박하다가 파직되고, 김안로가 실각한 후 등용되어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148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곡(鼎谷) - 조존성(趙存性)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창원(趙昌遠)의 아버지로, 성혼(成渾)ㆍ박지화(朴枝華)의 문하에서 수학함. 강화 부사(江華府使) 등 외직 재임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으며,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554~162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곤수(鄭崑壽)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공(正公)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공거사(淨空居士) - 곽상정(郭祥正)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단주 지사(端州知事)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없어 현청산(縣靑山)에 은거함. 시(詩)에 뛰어나 매요신(梅堯臣)에 의해 이백(李白)의 후신(後身)으로 비견(比肩)되고, 저서에 《청산집(靑山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과정(鄭瓜亭)@정과정곡 - 정과정곡(鄭瓜亭曲)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인(文人)인 정서(鄭敍)가 동래(東萊)로 귀양 가 있을 때 임금을 생각하며 지은 십구체(十句體) 향가(鄕歌) 형식의 고려가요(高麗歌謠).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문헌>작품명
-
정과정(鄭瓜亭) - 정서(鄭敍)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정항(鄭沆)의 아들이며, 인종의 비(妃)인 공예태후(恭睿太后)의 동생의 남편. 의종(毅宗) 때 참소를 받아 동래(東萊)ㆍ거제(巨濟)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곽군(靖郭君) - 전영(田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군. 위왕(威王)의 아들이자 맹상군(孟嘗君)의 아버지로, 위(魏) 나라의 군사를 대패시키는 등 제 나라를 강성하게 하는 데 공헌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정관(靜觀) - 황열(黃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병조 판서를 지낸 황정욱(黃廷彧)의 아버지.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냄.
15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정관대(靜觀臺) - 대관대(大觀臺)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사천(泗川) 구암리(龜巖里) 만죽산(萬竹山)에 건립한 대(臺) 이름. 이정(李楨)이 그 아래에 구암정사(龜巖精舍)를 짓고 많은 제자들과 함께 학문을 강론함. 본래 이름은 정관대(靜觀臺)였으나 이황(李滉)이 고쳐 불렀다고 함.
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사천 , 유적>건물>사제
-
정관시로(整冠詩老)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관재(靜觀齋)@김만기 - 김만기(金萬基)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숙종의 국구(國舅)로, 김만중(金萬重)의 형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내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짐.
1633~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관재(靜觀齋) - 박충원(朴忠元)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성절사(聖節使)의 부사(副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대제학(大提學)과 예조(禮曹)ㆍ병조(兵曹)의 판서를 지냄.
1507~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관천자(貞觀天子) - 태종(太宗)@당
중국 당(唐) 나라 제2대 황제. 재위 626~649. 고조(高祖)의 아들이며,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 돌궐족(突厥族)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 ‘정관(貞觀)의 치(治)’로 일컬어지는 성세(盛世)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
598~649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정광문(鄭廣文)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교(鄭僑)@공손교 - 공손교(公孫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정(鄭) 목공(穆公)의 손자로,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 예법(禮法)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口舌)로 밖을 제어하므로, 당시 강국인 진(晉)과 초(楚)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정교(鼎敎) - 삼교(三敎)
유교(儒敎)ㆍ도교(道敎)ㆍ불교(佛敎)를 말함.
고대 , 사상>이론>교리
-
정교은(鄭郊隱) - 정이오(鄭以吾)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신중(鄭臣重)의 아들로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태조실록(太祖實錄)》편찬에 참여함.
1347~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국(定國)@우정국 - 우정국(于定國)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우공(于公)의 아들로, 승상(丞相)을 지냄. 아버지 우공이 옥사(獄史)로 있을 때 판결로 선행을 쌓아 자신의 자손 중에 가문을 일으킬 자가 나오리라고 예측하고 집 대문을 크게 만들었다는 고사가 전함.
?~B.C.41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국(定國) - 왕흠약(王欽若)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동평장사(同平章事)를 지내고, 양억(楊億)ㆍ진팽년(陳彭年) 등과 함께 《책부원귀(冊符元龜)》천 권을 저술함.
962~102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