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국(正國) - 김정국(金正國)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동생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
1485~154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국(靖國) - 정국공신(靖國功臣)
조선 중종(中宗) 1년에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중종반정 후 박원종(朴元宗)ㆍ성희안(成希顔)ㆍ유순정(柳順汀) 등이 공을 논하고 여러 번의 수정을 거쳐 총 117명을 책록함.
1506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정귀(廷龜) - 이정귀(李廷龜)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현감(縣監) 이계(李𡹘)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명(明) 나라에 원병을 청하고, 대제학(大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신흠(申欽)ㆍ장유(張維)ㆍ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4대 문장가로 불림.
1564~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규(庭珪) - 왕정규(王庭珪)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효종(孝宗)의 문신ㆍ학자. 고종(高宗) 때 호전(胡銓)이 금(金) 나라와 화친을 주장하는 진회(秦檜)를 참할 것을 상소하였다가 유배되자 홀로 시를 지어 전송함.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주역(周易)》에 정통하였음.
1080~11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규(鄭逵)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균(庭筠)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정극신(丁克愼) - 정극경(丁克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광(靈光)으로,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의 동생.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정기(廷器) - 신세련(辛世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노모의 봉양을 위해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정기(廷機) - 조정기(趙廷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조종경(趙宗敬)의 아들이자 평택 현감(平澤縣監) 조수륜(趙守倫)의 아버지. 학문이 뛰어나 오랫동안 선조의 시강(侍講)을 맡았으며, 장령(掌令)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기암(鄭畸菴)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정난공신(定難功臣)@보익공신 - 보익공신(保翼功臣)
조선 명종(明宗) 1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를 주도한 인물들에게 내린 훈호(勳號). 선조(宣祖) 때 위훈(僞勳)으로 간주되어 모두 삭훈(削勳)됨.
1546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정남(征南) - 두예(杜預)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ㆍ학자. 진남대장군(鎭南大將軍)이 되어 오(吳)를 평정하여 당양현후(當陽縣侯)에 봉해짐. 춘추의례설(春秋義例說)을 확립하고, 춘추학으로서의 좌씨학을 집대성함.
222~28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정남봉(鄭南峯) - 정지연(鄭芝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정유인(鄭惟仁)의 아들이며, 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 이황(李滉)의 추천으로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고 직제학(直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내암(鄭萊庵) - 정인홍(鄭仁弘)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서산(瑞山). 조식(曺植)의 수제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광해군 때 영의정으로서 대북(大北)을 영도하여 계축옥사(癸丑獄事)를 야기시켰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참형됨.
1536~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녕(正寧) - 이정녕(李正寧)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외척. 한성부윤(漢城府尹)을 지낸 이사후(李師厚)의 아들로, 태종(太宗)의 딸인 숙혜옹주(淑惠翁主)와 결혼하여 성원위(星原尉)에 봉작되었으며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411~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녕옹주(靖寧翁主) - 원경왕후(元敬王后)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비(妃). 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태종이 즉위하는 데 일조하였으나, 태종 즉위 후 빈어(嬪御) 문제와 친정 형제들을 숙청한 일로 불화함.
1365~14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ㅣ서울 , 인명>왕실>왕비
-
정능(靜能) - 민진후(閔鎭厚)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아들이며, 숙종 비(妃)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오빠이자 좌의정을 지낸 민진원(閔鎭遠)의 형.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냄.
1659~1720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정달(廷達) - 선정달(宣廷達)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으로, 죽천(竹川) 박광전(朴光前)의 문인(門人). 1564년(명종 1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3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문사>유학
-
정달경(鄭達卿) - 정광보(鄭光輔)
조선 전기의 유학. 김효원(金孝元)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당(政堂) - 유여림(兪汝霖)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유기창(兪起昌)의 아들.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저서로 《정당선생유고(政堂先生遺稿)》가 있음.
1476~153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