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문헌(鄭文獻)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민(正愍) - 여대방(呂大防)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동생인 여대림(呂大臨) 등과 함께 도(道)를 논하고 예(禮)를 연구하여 향약(鄕約)을 제정함.
1027~109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愍)@이종 - 이종(李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아들로,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에게 출계함.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연산군 12)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민(貞愍) - 송현수(宋玹壽)
조선 단종(端宗) 때의 문신. 단종의 장인. 본관은 여산(礪山). 1457년(세조 3) 금성대군(錦城大君)이 사사된 뒤 주살(誅殺)됨.
?~145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민(貞愍)@이해 - 이해(李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 때 권신 이기(李芑)의 우의정 임용을 반대하다 탄핵되었으며, 무고 사건에 연좌된 구수담(具壽聃)의 일파로 몰려 귀양가던 도중 양주(楊州)에서 병사함.
1496~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愍)@금성대군 - 금성대군(錦城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의안대군(宜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로 출계함. 수양대군(首陽大君)에 맞서 조카 단종(端宗)을 보호하다가 삭녕(朔寧)에 유배된 후, 단종복위를 모의한 일이 실패하여 처형당함.
1426~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민(貞愍)@안당 - 안당(安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安處謙)ㆍ안처근(安處謹)과 함께 사사(賜死) 되었으나, 명종(明宗) 때 복관됨.
1461~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愍)@원숙강 - 원숙강(元叔康)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손자.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문젯거리가 될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당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愍)@임해군 - 임해군(臨海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첫째 서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됨. 동생 광해군(光海君)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4~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민(貞愍)@복성군 - 복성군(福城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서자. 경빈박씨(敬嬪朴氏)의 소생으로, 1533년(중종 28) 작서(灼鼠)의 변(變) 때 모자가 함께 사사(賜死)되었다가 1541년(중종 36)에 신원(伸寃)됨.
1509~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민(貞敏)@문정 - 문정(文証)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순평부원군(順平府院君) 문유필(文惟弼)의 아들로, 검교추밀원사(檢校樞密院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유진동 - 유진동(柳辰仝)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ㆍ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했음. 문사(文詞)에 뛰어났으며, 죽화(竹畵)를 잘 그렸음.
1497~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함녕군 - 함녕군(咸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둘째 서자. 신빈(信嬪) 신씨(辛氏)의 소생으로, 세종(世宗) 때 계품사(計稟使)로서 중국에 가서 금ㆍ은의 공물을 면제받고 돌아옴.
1402~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정민(貞敏) - 백간미(白簡美)
고려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조(六朝)에 걸쳐 벼슬을 지내고 영해(寧海)로 낙향하였으며, 문종이 여러 차례 불렀으나 응하지 않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강흡 - 강흡(姜洽)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장생(金長生)ㆍ신흠(申欽)에게 사사(師事)하고, 현감(縣監) 등을 지냄. 병자호란 이후 태백산(太白山)에 은거하여 심장세(沈長世)ㆍ홍석(洪錫)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일컬어짐.
1602~168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신공제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장운익 - 장운익(張雲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우의정(右議政) 장유(張維)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하고,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명(明) 나라 제독 마귀(麻貴)를 영접한 공이 있어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61~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민(貞敏)@심장세 - 심장세(沈長世)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병자호란(丙子胡亂)의 굴욕적인 강화 이후 강흡(姜洽)ㆍ홍석(洪錫) 등과 태백산 춘양(春陽)에 은거하며 학문을 닦아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정민(靖敏) - 윤흔(尹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4~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정반자(淨飯子)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