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보(禎父)@이흥 - 이흥(李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음보(蔭補)로 도원 찰방(桃源察訪)을 지냈으며, 성수침(成守琛)ㆍ민제인(閔齊仁)ㆍ송순(宋純) 등과 계축 갑계(癸丑甲契)를 맺음.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보(禎父) - 양희지(楊熙止)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중화(中和).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任士洪)ㆍ유자광(柳子光)ㆍ노공필(盧公弼) 등과 친하여 그 출처(出處)에 비난을 받기도 함.
1439~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정보(程普) - 정보(程保)
조선 성종(成宗) 때 광주목(光州牧)에 소속된 아전. 제주(濟州)에서 뭍으로 돌아오는 추쇄경차관(推刷敬差官) 최부(崔溥)를 수행하던 중 함께 중국에 표류되었다가 돌아옴.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아전
-
정보(精甫) - 성안의(成安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1624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공주(公州)로 호종한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1~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창녕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정보(精甫)@김언건 - 김언건(金彦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동(永同). 온성 판관(穩城判官) 김각(金覺)의 아버지로, 감찰에 증직되고 연악서원(淵嶽書院)에 제향됨.
1511~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정보(貞父) - 최항(崔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훈구파(勳舊派)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및 실록(實錄) 편찬 등에 참여함.
1409~14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보(貞甫) - 한영(韓永)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간의대부(諫議大夫) 한사기(韓謝奇)의 아들. 원(元) 나라에서 성장해 하남부총관(河南府摠管) 등을 지내고, 원 나라에 와 있던 충숙왕을 시종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285~1336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보(靜甫)@유발 - 유발(柳潑)@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백광훈(白光勳)의 《옥봉시집(玉峯詩集)》에, 그와 이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보(靜甫) - 곽진(郭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종(仁宗) 때의 학자. 생원 곽한(郭瀚)의 아들이며, 권우(權宇)의 문인.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함. 시문에 능하였고, 장현광(張顯光)ㆍ이준(李埈) 등과 사우관계를 맺음.
1568~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
-
정보(靜甫)@권도 - 권도(權濤)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를 지낸 권세춘(權世春)의 아들. 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의 문인이며, 유효립(柳孝立)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영사원종공신(寧社原從功臣)에 책록됨.
1557~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복(鼎福) - 안정복(安鼎福)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실학(實學)을 연구하여 역사지리학(歷史地理學)을 세밀히 고증한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저술함.
1712~179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제천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봉(鼎峯) - 김광헌(金光軒)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심언광(沈彥光)과 교유하여 《어촌집(漁村集)》에 그에 대한 애사(哀辭)가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정부(定夫)@김종수 - 김종수(金鍾秀)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치만(金致萬)의 아들. 노론(老論) 벽파(僻派)의 영수로서 정조의 신임을 받고, 임성주(任聖周)ㆍ윤시동(尹蓍東)ㆍ김상묵(金尙默) 등과 교유함.
1728~17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부(定夫) - 유작(游酢)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정호학(程顥學)에 매진하여 '정문사제자(程門四弟子)'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지고, 감찰어사(監察御史)ㆍ지호주(知濠州) 등을 지냄.
1053~112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부(挺夫) - 완위(阮偉)
베트남 여조(黎朝) 때의 문신. 명(明) 헌종(憲宗) 때 하절사(賀節使)로 중국을 방문해 조선의 사신(使臣)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
-
정부(正夫)@유격 - 유격(柳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선릉 참봉(宣陵參奉)을 지내고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다섯 차례나 임명되었으며, 서예에 뛰어났음.
1545~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부(正夫)@김우용 - 김우용(金宇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
1538~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부(正夫) - 송희경(宋希璟)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역임하였고, 회례사(回禮使)가 되어 일본(日本)을 왕래함.
1376~144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정부(禎夫) - 이흥(李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음보(蔭補)로 도원 찰방(桃源察訪)을 지냈으며, 성수침(成守琛)ㆍ민제인(閔齊仁)ㆍ송순(宋純) 등과 계축 갑계(癸丑甲契)를 맺음.
149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부(貞夫) - 송세량(宋世良)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송여해(宋汝諧)의 아들로, 선릉 참봉(宣陵參奉)ㆍ건원릉 참봉(健元陵參奉) 등을 지냄.
1473~15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