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산(鼎山) - 삼각산(三角山)
서울 북부와 경기도 고양에 걸쳐 있는 북한산(北漢山)의 고려ㆍ조선시대의 이름.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 만경대(萬景臺)의 세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명명됨.
경기도>고양ㅣ서울 , 지명>자연지명
-
정삼(挺三) - 탁정삼(卓挺三)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운한(卓雲翰)의 셋째 아들이고, 탁정화(卓挺華)ㆍ탁정항(卓挺恒)의 동생이며,탁정오(卓挺五)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정삼봉(鄭三峯)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상(廷相) - 왕정상(王廷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벼슬이 병부상서(兵部尚書)에 이르렀으며 문학과 비평에 일가를 이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동한 홍치칠자(弘治七子)의 한 사람.
1474~154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상인(政上人) - 유정(惟政)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승려ㆍ의병장. 본관은 풍천(豐川).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스승 휴정(休靜)과 함께 승병(僧兵)을 모아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네 차례에 걸쳐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과 회담을 가짐.
1544~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ㅣ인명>종교인>승려
-
정상인(靜上人) - 휴정(休靜)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승려. 일선(一禪)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靈觀)의 법을 계승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승병(僧兵) 을 모아 명(明) 나라 군대와 합세하여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움.
1520~1604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안주 , 인명>종교인>승려
-
정서(呈瑞)@채정서 - 채정서(蔡呈瑞)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 채순(蔡恂)의 아버지로,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아산 , 인명>관인>문신
-
정서(呈瑞) - 김인손(金麟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내고,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시절 황정(荒政)을 바로잡아 칭송받음.
1479~155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서(廷瑞) - 이원록(李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행(李荇)의 아들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당시 권신이던 숙부 이기(李芑)를 비판하고 이황(李滉)ㆍ정황(丁熿) 등 많은 선비들을 구해 주었으며,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역임함.
1514~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정서(程書)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정서장사(征西將士) - 김언경(金彦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가하여 공을 세웠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정서천(鄭西川)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석(廷碩)@윤안국 - 윤안국(尹安國)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윤응상(尹應商)의 아들로, 병조 참의(兵曹參議)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역임함.
1569~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석(廷碩) - 소정(蘇頲)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문신. 중서사인(中書舍人)ㆍ익주장사(益州長史) 등을 지내고, 문학에 조예가 깊어 현종의 총애를 받음.
670~727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선(丁仙) - 정영위(丁令威)
중국 한(漢) 나라 때의 도사(道士). 요동(遼東) 사람으로 영허산(靈虛山)에서 도(道)를 닦아 신선(神仙)이 되고 천년 뒤 학(鶴)이 되어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았다고 함.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선(靖宣) - 김하(金何)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김자지(金自知)의 아들. 중국어에 능통하여 명 나라 사신을 접대하고 자주 중국에 내왕하였음.
?~146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정성(靖成) - 윤은보(尹殷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성종실록(成宗實錄)》ㆍ《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ㆍ《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ㆍ《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146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정성군(定城君) - 왕석(王奭)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맏아들. 순비 노씨(純妃盧氏)의 소생으로, 1389년(공양왕 1)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391년 하정사(賀正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정송강(鄭松江)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송수(貞松守) - 이석손(李錫孫)
조선 전기의 종친. 중종(中宗) 때에 아들 신창령(新昌令) 이흔(李訢)과 함께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고변당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