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자산(鄭子産) - 공손교(公孫僑)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정(鄭) 목공(穆公)의 손자로, 춘추전국시대 제일의 외교가로 꼽힘. 예법(禮法)으로 안을 다스리고 구설(口舌)로 밖을 제어하므로, 당시 강국인 진(晉)과 초(楚)의 침략을 받지 않았음.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정자성(鄭自誠) - 정성지(鄭性之)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1172~125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자어록(程子語錄) - 이정전서(二程全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글을 총괄하여 편집한 책. 유서(遺書)ㆍ외서(外書)는 주희(朱熹)가 편집하고, 수언(粹言)ㆍ경설(經說)ㆍ문집(文集) 등은 양시(楊時)가 정정(訂定)하여, 1606년 서필달(徐必達)이 간행함.
1606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정자용(鄭子容) - 정홍명(鄭弘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우의정 정철(鄭澈)의 아들. 송익필(宋翼弼)과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예학에 조예가 있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지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함.
1592~165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 , 인명>관인>문신
-
정자정(鄭子精)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자중(鄭子中) - 정유일(鄭惟一)@1533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한 뒤 대사간(大事諫)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뛰어났으며, 성리학에 있어서는 퇴계설(退溪說)을 발전시킴.
1533~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자진(鄭子眞) - 정박(鄭樸)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도사. 대장군(大將軍) 왕봉(王鳳)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은 채 곡구(谷口)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장(鄭莊) - 장공(莊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무공(武公)의 아들. 탁월한 지략과 수완으로 친동생 공숙단(共叔段)이 친모 무강(武姜)과 짜고 반역을 일으키자 일거에 진압하고, 뛰어난 명신들의 보좌를 받으면서 정 나라의 전성기를 구가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정재(定齋)@곽월 - 곽월(郭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사성(司成) 곽지번(郭之藩)의 아들이며,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아버지. 1556년(명종 11)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사간(司諫)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남원 부사(南原府使) 등을 역임함.
1518~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정재(定齋)@박태보 - 박태보(朴泰輔)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박세당(朴世堂)의 아들로, 박세후(朴世垕)에게 출계함. 1677년(숙종 3)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천 현감(伊川縣監)ㆍ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1689년(숙종 15)에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 유배를 가던 중에 죽음.
1654~168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재(定齋) - 유치명(柳致明)
조선 순조(純祖)~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유회문(柳晦文)의 아들로, 대사간(大司諫)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만우재(晩愚齋)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함.
1777~186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정재(正齋) - 이현익(李顯益)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ㆍ김창협(金昌協)에게서 배우고, 생원시에 장원했으나 향리에 묻혀 학문에 힘씀. 학덕이 높아 세자시강원(世子講院)의 왕자사부(王子師傅)ㆍ진안 현감(鎭安縣監) 등을 지냄.
1678~17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재(貞齋)@이수정 - 이수정(李守貞)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광양군(光陽君) 이세좌(李世佐)의 아들이며 이준경(李浚慶)의 아버지.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ㆍ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처형됨.
1477~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재(貞齋)@박의중 - 박의중(朴宜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이색(李穡)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음. 철령위(鐵嶺衛) 철폐를 이룩하고 추성보조공신(推誠補祚功臣)에 책록됨.
1337~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재(貞齋) - 김인경(金仁鏡)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고종 때 거란군의 토벌에 공을 세웠으며, 시부(詩賦)를 잘하여 ‘양경시부(良鏡詩賦)’라 칭송됨.
?~123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정재(靜齋)@이종 - 이종(李踵)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아들로, 태종의 세 번째 서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裎)에게 출계함.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1506년(연산군 12) 아들들과 함께 죽음을 당함.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정재(靜齋)@조상치 - 조상치(曺尙治)
조선 중종(中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학자 조한보(曺漢輔)의 할아버지로, 길재(吉再)ㆍ이안유(李安柔)의 문인. 집현전 부제학(集賢殿副提學) 등을 지냈으며,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사직하고 은거하면서 후학을 양성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정재(靜齋)@이강 - 이강(李鋼)@이수계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들인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의 손자이며 계산군(桂山君) 이수계(李壽誡)의 둘째 아들. 또한 경력(經歷)을 지낸 한여필(韓汝弼)의 사위이며, 한백겸(韓百謙)의 고모부.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정재(靜齋)@성담년 - 성담년(成聃年)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성담수(成聃壽)의 동생. 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성리학(性理學)에 조예가 깊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재(靜齋) - 남언경(南彦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의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반박하고 양명학(陽明學) 체계를 완성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