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정(貞靖)@강사상 - 강사상(姜士尙)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지낸 강온(姜溫)의 아들. 1568년(선조 1) 조광조(趙光祖)의 신원과 추숭을 건의했으며, 이조 판서ㆍ한성부 판윤ㆍ우의정 등을 지냄.
1519~158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정(貞靖)@홍처량 - 홍처량(洪處亮)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낸 홍명현(洪命顯)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인조실록(仁祖實錄)》 편찬에 참여함.
1607~168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정(貞靖) - 윤번(尹璠)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윤승례(尹承禮)의 아들이며, 세조(世祖) 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아버지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84~144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정정(貞靖)@김식 - 김식(金湜)@고려
고려 전기의 문신. 상산김씨(商山金氏)의 시조인 김수(金需)의 손자. 찬성사(贊成事) 김희일(金希逸)의 아버지로, 시중(侍中) 등을 지냄.
990~?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정정(靜亭) - 권호(權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정정공(貞靖公) - 김식(金湜)@고려
고려 전기의 문신. 상산김씨(商山金氏)의 시조인 김수(金需)의 손자. 찬성사(贊成事) 김희일(金希逸)의 아버지로, 시중(侍中) 등을 지냄.
990~?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정정사(程正思) - 정단몽(程端蒙)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청소년을 위한 성리학(性理學)의 기초 학습 교재인 《성리자훈(性理字訓)》을 저술함.
1143~11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정이(鄭靜而)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정정자(程鼎子) - 정순(程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저서에는 《존덕성재집(尊德性齋集)》이 있음. 주희(朱熹)의 진외가(眞外家) 육촌동생.
1135~119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정정(亭亭亭)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조(靜照) - 천영(天英)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수선사(修禪社)의 제5세 국사(國師)로, 1236년(고종 23) 승과(僧科)에 급제함. 수선사 제3세인 청진국사(淸眞國師)의 교화를 받고 제4세인 진명국사(眞明國師)를 스승으로 삼았으며 복구(復邱)를 출가시킴.
1215~1286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조옥강(曺玉剛) - 이전인(李全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언적(李彦迪)의 서자(庶子)로, 이언적이 찬술한 〈진수팔규(進修八規)〉를 올려 이언적의 훈작(勳爵)이 복작(復爵)됨.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조옥여(趙沃汝) - 조언(趙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조응경(趙應卿)의 아들이자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전사한 조종도(趙宗道)의 아버지. 송인수(宋麟壽)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음보로 준원전 참봉(濬源殿參奉)을 지냄.
1517~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왕(趙王) - 유여의(劉如意)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넷째 아들. 척부인(戚夫人)의 소생으로, 고조가 태자 유영(劉盈)를 폐하고 그를 세우려 하였으나 여후(呂后)와 대신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으며, 고조가 죽은 후 여후에게 독살당함.
B.C.201~B.C.19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조용(趙佣) - 철종(哲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7대 황제. 재위 1085~1100. 신종(神宗)의 여섯 번째 아들. 사마광(司馬光) 등 구당(舊黨)을 축출하고 장돈(章惇) 등을 중용하여 왕안석(王安石)의 변법(變法)을 다시 시행함.
1076~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용문(趙龍門)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조용조(租庸調) - 조용조제(租庸調制)
중국의 수(隋)~당(唐) 나라 때 완성된 조세체계. 조(租)는 토지, 용(庸)은 사람, 조(調)는 호(戶)에 부과하는 조세제도로 관리들의 백성 착취의 대상이 되어 많은 폐단을 낳아 덕종(德宗) 때 폐지됨.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법제>제도
-
조용주(趙龍洲) - 조경(趙絅)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익남(趙翼男)의 아들이며 윤근수(尹根壽)의 문인(門人).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고, 대제학(大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586~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조우(祖禹) - 범조우(范祖禹)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역사가.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기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함.
1041~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우(趙祐) - 조돈(趙暾)
고려 충숙왕(忠肅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대대로 용진(龍津)에 살다가 고려에 귀부하여 충숙왕을 섬기고, 홍건적이 침략하자 안우(安祐)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1등공신에 녹명됨.
1308~138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