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욱(趙頊) - 신종(神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6대 황제. 재위 1067~1085. 영종(英宗)의 장자로, 왕안석(王安石)을 등용하여 부국강병책을 시행하였으나, 서하(西夏) 원정 등 외정(外征)에 실패하여 실의에 빠져 죽음.
1048~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원(調元) - 임내신(任鼐臣)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함. 예조 참의(禮曹參議)ㆍ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지냄.
151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조원간(趙元侃) - 진종(眞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997~1022. 당말(唐末)과 오대(五代)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동북 요(遼) 나라의 침입을 받음.
968~1022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원보(趙元保) - 진종(眞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997~1022. 당말(唐末)과 오대(五代)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동북 요(遼) 나라의 침입을 받음.
968~1022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원진(趙元鎭) - 조정(趙鼎)
중국 송(宋) 나라의 충신. 정이(程頤)의 제자. 재상(宰相)으로서 국력 배양에 진력하다가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파직되어 적소(謫所)에서 단식으로 항거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원호(趙元昊) - 경종(景宗)@서하
중국 서하(西夏)의 제1대 왕. 재위 1032~1048. 서부 지역에서 일어나 송과의 항쟁을 주도하였음.
1003~1048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월계(趙月溪) - 조희문(趙希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조림(趙琳)의 아들이며 김인후(金麟厚)의 문인. 성리학(性理學)에 밝아 김인후의 학설을 계승ㆍ발전시키고, 문장에도 능하여 정철(鄭澈)ㆍ기대승(奇大升) 등과 교유함.
1527~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월천(趙月川)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조위(曹魏) - 위(魏)@삼국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조조(曹操)의 아들 조비(曹丕)가 후한(後漢)의 헌제(獻帝)에게 선양받아 낙양(洛陽)에 세운 왕조. 5대 46년간 존속.
225~26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조위(趙瑋)@효종 - 효종(孝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162~1189. 장준(張浚)에게 명하여 금(金)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叔姪) 관계로 화의(和議)를 맺음. 내정(內政) 개혁을 실시해 강남(江南)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北宋)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
1127~119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육(趙肉) - 송(宋)
중국의 통일 왕조. 조광윤(趙光胤)이 오대(五代) 후주(後周)의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국가. 개봉(開封)에 도읍했던 북송(北宋) 시대와 정강(靖康)의 변(變) 때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이후의 남송(南宋) 시대로 구분됨.
960~1277 중국>송 , 중국 , 시간>국명
-
조윤(祚胤)@신인손 - 신인손(辛引孫)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按撫使)를 지낸 신유정(辛有定)의 아들. 1408년(태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이름.
1384~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조윤(祚胤) - 박승리(朴承李)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 풍산 만호(豐山萬戶) 박원지(朴元智)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조윤(趙昀) - 이종(理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4대 국왕. 재위 1225~1264년. 조광윤(趙匡胤)의 아들인 조덕소(趙德昭)의 구세손(九世孫). 영종(寧宗) 사후에 재상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국정운영을 못하여 몽고(蒙古)에게 장강(長江) 이북을 할양함.
1205~12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윤(趙胤) - 조견(趙狷)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덕유(趙德裕)의 아들.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 한 사람.
1351~142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윤충(趙尹忠) - 조충수(趙忠秀)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한산군(漢山君) 조진(趙振)의 아버지로, 영의정(領議政)과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은(朝隱)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조은(釣隱)@최치운 - 최치운(崔致雲)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술을 지나치게 좋아하여 왕이 친서(親書)로 절제하게 하자, 그 글을 벽에 걸어 놓고 출입할 때마다 바라보았다고 함.
1390~144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조은(釣隱)@축맹헌 - 축맹헌(祝孟獻)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조선 태종(太宗) 때 태복시 소경(太僕寺少卿)으로서 예부 주사(禮部主事) 육옹(陸顒)과 함께 조선에 사신으로 나옴.
1344~141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은(釣隱) - 박은(朴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조선 초기 두 차례의 왕자(王子)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고, 좌의정 등을 지냄.
1370~142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