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첩여(趙捷予) - 구익부인(勾弋夫人)
중국 전한(前漢)의 황제 소제(昭帝)의 어머니. 무제(武帝)의 후궁으로 외척의 발호를 염려한 무제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고 함. 소제 즉위 후 효소태후(孝昭太后)에 추존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조청소(朝請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조청헌(趙淸獻) - 조변(趙抃)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촉(蜀)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청렴하여 모범을 보이고, 후에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청헌집(淸獻集)》이 있음.
1008~108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청헌집(趙淸獻集) - 청헌집(淸獻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조변(趙抃)의 문집.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조충(趙沖) - 조충(趙冲)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명종 때 음서(蔭敍)로 내시(內侍)에 임명됨. 1219년 몽고(蒙古)ㆍ동진(東眞)군과 연합하여 거란군(契丹軍)의 항복을 받고 몽고군 원수인 합진(哈眞)과 형제의 맹약을 맺은 공으로, 정당문학 판예부사(政堂文學判禮部事)에 오름.
1171~122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조치도(趙致道) - 조사하(趙師夏)
중국 송(宋) 나라 광종(光宗)~영종(寧宗) 때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자 손서(孫壻)로, 주희의 예서(禮書) 편찬을 도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태허(曺太虛) - 조위(曺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이 준 사초(史草)를 실록(實錄)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54~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조태후(曹太后) - 자성광헌조황후(慈聖光獻曹皇后)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의 비(妃). 곽후(郭后)가 폐비되면서 황후(皇后)로 책봉되고, 영종(英宗) 즉위 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조평(趙評) - 조영규(趙英珪)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신창조씨(新昌趙氏)의 시조. 이방원(李芳遠)과 모의하여 정몽주(鄭夢周)를 선죽교에서 격살한 일로 이행(李行)의 탄핵을 받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에 추증됨.
?~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조평양(曹平陽) - 조참(曹參)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진(秦) 나라의 옥리(獄吏) 출신으로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워 평양후(平陽侯)로 책봉되고, 혜제(惠帝) 때는 상국(相國)에 오름.
?~B.C.19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포저(趙浦渚) - 조익(趙翼)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좌의정(左議政)을 역임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예학에 밝았으며 음률(音律)ㆍ병법(兵法)ㆍ복서(卜筮)에도 능했음.
1579~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항(趙恒) - 진종(眞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3대 황제. 재위 997~1022. 당말(唐末)과 오대(五代)의 혼란을 수습하고 중앙집권체제를 확립하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동북 요(遼) 나라의 침입을 받음.
968~1022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현(趙顯) - 공종(恭宗)
중국 송(宋) 나라 제16대 황제. 재위 1274~1276. 몽고(蒙古)의 침략 때 항복하고 잡혀감.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현대(釣賢臺) - 조현당(釣賢堂)
경상남도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북쪽 5리 지점의 내원사(內院寺) 안에 있던 당(堂) 이름. 조선 전기 학자인 김일손(金馹孫)의 기문(記文)이 전함.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
-
조형선(趙衡善) - 조정기(趙廷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사섬시 정(司贍寺正)을 지낸 조종경(趙宗敬)의 아들이자 평택 현감(平澤縣監) 조수륜(趙守倫)의 아버지. 학문이 뛰어나 오랫동안 선조의 시강(侍講)을 맡았으며, 장령(掌令)을 지냄.
1535~15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홍은(趙弘殷) - 선조(宣祖)@송
중국 송(宋) 나라의 추존왕.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의 아버지로, 오대십국(五代十國) 때 왕경숭(王景崇)의 반란을 평정하고 검교사도(檢校司徒) 등을 지냈으며, 송 나라 초에 추존됨.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조확(趙擴)@영종 - 영종(寧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황제. 재위 1194~1224. 국정운영이 미숙하여 충분한 준비 없이 금(金) 나라를 공격했다가 패하여 금 나라와 백질지국(伯侄之國)이라는 굴욕적인 외교관계를 맺고 조공을 늘리는 수모를 당함.
1168~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환(趙桓) - 흠종(欽宗)
중국 송(宋) 나라 제9대 황제. 재위 1125~1127. 휘종(徽宗)의 맏아들. 금(金) 나라 군사의 침공을 받아 휘종과 함께 잡혀가 만주의 유배지에서 죽음.
1100~1161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황(釣璜)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조황후(趙皇后) - 조비연(趙飛燕)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의 황후(皇后). 가무(歌舞)에 뛰어난 절세의 미인으로 황후(皇后)의 지위까지 오르게 되었지만 성제(成帝)가 죽자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