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회양(曺淮陽) - 조숙(曺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조승로(曺承老)의 아들. 1540년(중종 35)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시정(寺正)을 지냄. 김인후(金麟厚)ㆍ임운(林芸)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횡(趙竤) - 조횡(趙竑)
중국 송(宋) 나라의 왕자ㆍ제후. 영종(寧宗)이 아들이 없어 종실(宗室)인 조횡(趙竑)을 황자(皇子)로 세워 장래의 후계로 삼으려 했지만, 정승(政丞) 사미원(史彌遠)에 의해 저지당하고 결국 죽임을 당함.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제자.
?~1225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자ㅣ인명>왕실>제후
-
조효직(趙孝直) - 조광조(趙光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도학정치(道學政治)를 주창하며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시행하였으나 훈구(勳舊) 세력이 일으킨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죽임을 당함.
1482~15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후(條侯) - 주아부(周亞夫)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경제(景帝) 때의 장군. 강후(絳侯) 주발(周勃)의 아들로, 문제 때 흉노(匈奴)의 침입을 막고, 경제 때는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을 평정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후(趙煦) - 철종(哲宗)@송
중국 송(宋) 나라 제7대 황제. 재위 1085~1100. 신종(神宗)의 여섯 번째 아들. 사마광(司馬光) 등 구당(舊黨)을 축출하고 장돈(章惇) 등을 중용하여 왕안석(王安石)의 변법(變法)을 다시 시행함.
1076~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조후(趙珝) - 조연수(趙延壽)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충숙왕의 미움을 사 섬으로 유배됨.
1278~1325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흥(調興) - 유천조흥(柳川調興)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인 종의지(宗義智) 집안의 가신(家臣)으로, 조부 유천조신(柳川調信)과 아버지 유천지영(柳川智永)의 대를 이어 조선과의 무역 및 외교에 공을 세움.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조흥문(趙興門) - 조일신(趙日新)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조위(趙瑋)의 아들. 공민왕을 수종하여 원(元) 나라에 갔다가 공민왕이 왕위에 오르자 좌리공신(佐理功臣)에 봉해짐. 이후 권력을 멋대로 휘두르다가 왕에게 주살당함.
?~1352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족경석죽(簇莖石竹)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 어떤 장사(壯士)가 석령(石靈)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 6~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음. 《동문선(東文選)》에 실린 정습명(鄭襲明)의 시가 유명함.
자연물>식물
-
족암(足庵) - 윤변(尹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윤두수(尹斗壽)의 아버지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의 무죄를 호소함.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1493~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족암(足庵)@종령 - 종령(宗聆)
고려 후기의 승려. 원효(元曉)의 무애사상(無㝵思想)을 중시하고, 미수사우(眉叟四友)라 불릴 정도로 문학과 시에 능하였으며, 이규보(李奎報)ㆍ이인로(李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족암사(足庵師) - 종령(宗聆)
고려 후기의 승려. 원효(元曉)의 무애사상(無㝵思想)을 중시하고, 미수사우(眉叟四友)라 불릴 정도로 문학과 시에 능하였으며, 이규보(李奎報)ㆍ이인로(李仁老) 등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족한(足閒) - 백인국(白仁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한 후 권전(權銓)과 합세하여 축산(丑山)에서 적을 격파함.
1530~161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족한당(足閒堂) - 백인국(白仁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규합한 후 권전(權銓)과 합세하여 축산(丑山)에서 적을 격파함.
1530~161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수원 , 인명>관인>문신
-
족헌수재(足軒秀才) - 원부(元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충(元忠)의 할아버지. 충렬왕 때 유경(柳璥)ㆍ김구(金坵) 등과 함께 《고종실록(高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함. 《고금록(古今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첨의중찬(僉議中贊)에 오름.
1219~1287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존(存) - 신존(愼存)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둘째 아들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존광(存光) - 이존광(李存光)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4남인 성녕대군(誠寧大君)의 증손으로, 중종(中宗) 때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최중홍(崔重洪)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존덕사(尊德祠) - 병산서원(屛山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정경세(鄭經世) 등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성룡(柳成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1863년(철종 14)에 사액됨.
161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존도(尊道) - 안존도(安尊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한백당(寒栢堂) 안숭효(安崇孝)의 손자이며, 취우정(聚友亭) 안관(安灌)의 아버지.
?~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존도사(尊道祠) - 호계서원(虎溪書院)@안동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1576년(선조 9)에 여강서원(廬江書院)으로 창건되고, 1676년(숙종 2)에 호계서원(虎溪書院)이라 사액되었으며, 이황(李滉)ㆍ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을 배향함.
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