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종도(宗道)@한종도 - 한종도(韓宗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김안국이 지은 자사(字辭)가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종도(宗道)@노종도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도(宗道)@안종도 - 안종도(安宗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경률(安景嵂)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모아 왜적과 싸움. 이감(李戡)ㆍ이중경(李重慶)과 동향(同鄕) 친구로, 권신 이량(李樑)의 비호 아래 현직(顯職)을 두루 지냄.
1522~16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동(終童) - 종군(終軍)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학과 언변이 매우 뛰어나 약관(弱冠)의 나이로 간대부(諫大夫)에 발탁됨. 남월왕(南越王)에게 한(漢)의 내속(內屬)이 될 것을 설득하여 관철시킴으로써 황제로부터 큰 총애을 받음.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래(從來) - 박종래(朴從來)
조선 전기의 유학. 회헌(晦軒) 박종원(朴宗元)의 후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은율 , 인명>문사>유학
-
종량(宗亮) - 박종량(朴宗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박은(朴誾)의 아들이며, 참판(參判)을 지낸 박공량(朴公亮)의 아우임.
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종량(宗諒) - 등종량(滕宗諒)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천장각 대제(天章閣待制)ㆍ정언(正言)ㆍ사간(司諫) 등을 역임하였고, 범중엄(范仲淹)과 교유함.
991~104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려(宗麗) - 김종려(金宗麗)
조선 전기의 유학.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유희춘(柳希春)의 서녀와 결혼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종례(宗禮) - 유종례(柳宗禮)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유희임(柳希任)의 아들이며, 권호문(權好文)의 동서(同壻)이자 김성일(金誠一)의 사돈으로, 습독(習讀)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종로(宗老)@차종로 - 차종로(車宗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여말 선초의 학자이자 화가인 차원부(車原頫)의 아버지로, 지방어사(知防禦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종로(宗老) - 박수춘(朴壽椿)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박감(朴敢)ㆍ권은(權殷) 등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종로(鐘路) - 종로(鍾路)
서울 광화문(光化門)에서 동대문(東大門) 사이의 거리 이름. 조선시대에 종루(鐘樓)가 세워져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교통의 요지이자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함. 원래는 광화문에서 종루 사이를 지칭하였음.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종룡(從龍)@유운 - 유운(柳雲)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유공좌(柳公佐)의 아들. 기묘사화 때 대사헌(大司憲)으로서 조광조(趙光祖)를 구원하려다가 파직당한 뒤 낙향하여 술로 울분을 달래다 죽음. 편저로 《진수해범(進修楷範)》이 있음.
1485~152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성 , 인명>관인>문신
-
종룡(從龍) - 김치운(金致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호조 참판(戶曹參判)을 지낸 김선(金鏇)의 아들로, 수찬(修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종룡(從龍)@고운 - 고운(高雲)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장흥(長興). 고맹영(高孟英)의 아버지이며,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할아버지. 형조 좌랑(刑曹佐郞)을 지낼 때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가 후에 예조 참판(禮曹參判)으로 추증됨. 호랑이 그림을 잘 그림.
149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종룡(從龍)@유종룡 - 유종룡(柳從龍)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예조 참의(禮曹參議) 유인호(柳仁濠)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종루십자가(鍾樓十字街) - 종로(鍾路)
서울 광화문(光化門)에서 동대문(東大門) 사이의 거리 이름. 조선시대에 종루(鐘樓)가 세워져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교통의 요지이자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함. 원래는 광화문에서 종루 사이를 지칭하였음.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종리권(鍾離權) - 종리권(鐘離權)
중국 후한(後漢)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원래는 장군이었으나 토번(吐藩)을 정벌하다가 실패하고 도망쳐 도사가 되었다고 함. 일설에는 당(唐) 나라의 도사로, 여암(呂巖)과 동시대 인물이라고도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종린(宗麟) - 이종린(李宗麟)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다섯 번째 서자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아들.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ㆍ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38~161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종린(從鱗) - 박종린(朴從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눌(朴訥)의 아들로, 이조 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함.
1496~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