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종생(終生)@이종생 - 진남군(鎭南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여섯째 아들.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으로, 종실 중에 가장 어질다고 하여 장원서 제조(掌苑署提調)에 임명됨.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종서(宗瑞) - 김종서(金宗瑞)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무신. 육진(六鎭)을 설치하여 두만강(豆滿江)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정함. 단종을 보필하다 수양대군(首陽大君)에게 참살당함.
1383~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종선(從善)@1519 - 유종선(柳從善)@1519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유유(柳柔)의 아들이며, 유순선(柳順善)의 아우로, 호조 참의(戶曹參議)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519~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선(從善)@조선전기 - 유종선(柳從善)@조선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은사(隱士). 본관은 진주(晉州). 파주 목사(坡州牧使)를 지냈으나, 산에 은거한 뒤로 친구와 친척들도 그의 얼굴을 보기가 드물었다고 함. 조헌(趙憲)의 《조천기(朝天記)》에 파주 목사 시절의 행적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종선(種善) - 이종선(李種善)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색(李穡)의 아들이며 권근(權近)의 사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68~143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종선정(種善亭)@금응석 - 금응석(琴應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이해(李瀣)의 아들 이교(李㝯)의 장인. 주부(主簿)를 지냈으며, 기근 때 빈민을 구휼하고 종자(種子)를 나눠 주는 등 선행을 베풀었다 함.
1508~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종성(宗城)@명 - 이종성(李宗城)@명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1595년(선조 28) 풍신수길(豐臣秀吉)을 왜왕(倭王)으로 책봉하기 위한 흠차책봉일본정사(欽差冊封日本正使)로 조선에 나와, 동래(東萊)의 왜진(倭陣)에 들어갔다가 소문에 놀라 도망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성(宗城)@조선 - 이종성(李宗城)@조선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박문수(朴文秀)와 함께 붕당(朋黨)의 폐를 논하고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어 민폐를 일소했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저서로 《오천집(梧川集)》이 있음.
1692~175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종성(宗成) - 탁종성(卓宗成)
고려 신종(神宗) 때의 문신.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맏아들로,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종성(宗聖)@조계상 - 조계상(曺繼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예조 참의(禮曹參議) 조광원(曺光遠)의 아버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1466~154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성(宗聖) - 증삼(曾參)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증점(曾點)의 아들이며 공자(孔子)의 고제(高弟)로, 효심이 두텁고 내성궁행(內省躬行)에 힘썼으며, 노 나라 지방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주력함.
B.C.506~B.C.43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종성(宗誠) - 정종성(鄭宗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일(迎日).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아들로, 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종성령(鍾城令) - 이구(李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주기설(主氣說)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종성서원(鍾城書院) - 종산서원(鍾山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함경도 종성(鍾城)에 건립된 서원. 1666년(현종 7)에 창건되고 1686년(숙종 12)에 사액됨. 후에 회령서원(會寧書院)을 흡수 통합하였으며, 기준(奇遵)ㆍ유희춘(柳希春)ㆍ정엽(鄭曄) 등 11인을 배향함.
1666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종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종소(從韶) - 정종소(鄭從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정이교(鄭以僑)의 아버지로, 성균 사성(成均司成) 등을 지내고, 문장(文章)과 기절(氣節)이 빼어나 김종직(金宗直)의 존중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종소문(宗少文) - 종병(宗炳)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금(琴)ㆍ서(書)ㆍ화(畫)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 불렸고, 노장학(老莊學)에 깊은 조예를 지니고 형산(衡山)에 은거하면서 조정에서 불러도 일체 응하지 않았음.
375~44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예술인>서화가
-
종손(從孫)@이종손 - 이종손(李從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공주(公州).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함(李諴)의 아버지로, 사직(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무신
-
종손(從孫) - 우종손(禹從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경조윤(京兆尹) 우맹선(禹孟善)의 아버지로, 동래 현령(東萊縣令) 등을 지냄.
1457~153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천 , 인명>관인>무신
-
종손(終孫) - 나종손(羅終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중종(中宗) 때 식년시(式年試)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나흥(羅興)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유학
-
종수(終壽) - 강종수(姜終壽)
조선 전기의 문신. 주부(主簿)를 지내고 신광한(申光漢)ㆍ심언광(沈彦光)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