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종원(宗元)@민종원 - 민종원(閔宗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여천위(驪川尉) 민자방(閔子芳)의 아버지로, 현령(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종원(宗元)@박종원 - 박종원(朴宗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율(殷栗). 우찬성(右贊成)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은율 , 인명>관인>문신
-
종원(宗元)@유종원 - 유종원(柳宗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당송팔대가(唐宋八代家)의 한 사람. 고문(古文)의 대가로서 한유(韓愈)와 병칭되었으나 사상적 입장에서는 서로 대립함. 우언(寓言) 형식을 취한 풍자문(諷刺文)과 산수(山水)를 묘사한 산문에도 뛰어남.
773~81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문사>문인
-
종원(宗源) - 안종원(安宗源)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했음.
1325~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종원(宗遠) - 신종원(辛宗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영원 군수(寧遠郡守)를 지낸 신진(辛鎭)의 아들로, 연천 현감(連川縣監)ㆍ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지냄.
1551~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유(宗㽔) - 이종유(李宗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복시 정(司僕寺正) 이적(李績)의 아들이며, 정존재(靜存齋) 이담(李湛)의 아버지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1479~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종유(宗儒) - 민종유(閔宗儒)
고려 원종(元宗)~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충렬왕(忠烈王) 때 삼사우윤(三司右尹)ㆍ전법판서(典法判書)ㆍ감찰대부(監察大夫)를 거쳐 찬성사(贊成事)가 되었으며, 충숙왕 때 복흥군(福興君)에 봉해짐.
1245~132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종유(宗愈) - 한종유(韓宗愈)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밀직부사(密直副使) 한영(韓英)의 아들. 이조년(李兆年)과 더불어 충숙왕(忠肅王)ㆍ충혜왕(忠惠王) 등에게 충절을 다하고,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됨.
1287~1354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유(宗裕) - 김종유(金宗裕)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김종직(金宗直)의 형으로 청송 교수(靑松敎授)를 지냄.
14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종윤(宗胤)@강종윤 - 강종윤(姜宗胤)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동생 강덕윤(姜德胤)과 함께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扈聖功臣)에 녹훈(錄勳)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윤(宗胤)@김종윤 - 김종윤(金宗胤)
조선 후기의 문신. 대사간(大司諫) 김극뉴(金克忸)의 아들로, 진산 군수(珍山郡守)를 지내고, 병조 참의(兵曹參議)로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종윤(宗胤) - 이종윤(李宗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운림군(雲林君)에 봉해짐.
1563~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종윤(從胤) - 이종윤(李從胤)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사선서 주부(司膳署主簿)를 지낸 이효손(李孝孫)의 아들로,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ㆍ금성 현령(金城縣令) 등을 지냄.
1428~149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
-
종윤(悰胤) - 이종윤(李悰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창평 현령(昌平縣令) 이수(李洙)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종윤(終允) - 권종윤(權終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종은(鍾隱)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종의(宗儀) - 곽종의(郭宗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낸 곽한방(郭翰邦)의 아버지로, 부여 현감(扶餘縣監)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종의(宗儀)@윤종의 - 윤종의(尹宗儀)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병(兵)ㆍ농(農)ㆍ율력(律曆)ㆍ도상(圖象) 등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헌종(憲宗)의 부묘(祔廟)와 관련해 《방례고증(邦禮考證)》을 저술함.
1805~188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의(宗誼) - 최세충(崔世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최응현(崔應賢)의 맏아들로, 도총부 도사(都摠府都事)ㆍ금구 현령(金溝縣令) 등을 지냄.
1453~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종인(宗仁)@유종인 - 유종인(柳宗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의서 습독관(醫書習讀官) 유희임(柳希任)의 아들이며, 유종례(柳宗禮)의 형.
1516~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