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종인(宗仁) - 누사덕(婁師德)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의 문신. 재상(宰相)으로 있으면서 30여 년 동안 정사를 돌보고 변방의 요지(要地)를 총괄함. 인덕(仁德)을 지녀 칭송을 받음.
630~6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인(種仁) - 유종인(柳種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서산유씨(瑞山柳氏) 28세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낸 유섭(柳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종일(宗日) - 유종일(柳宗日)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함(柳諴)의 아들이며, 조계(潮溪) 유종지(柳宗智)의 동생. 하항(河沆)의 《각재집(覺齋集)》에 그가 병문안을 온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종일(從一) - 두회정(竇懷貞)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宰相). 고종(高宗)의 딸인 태평공주(太平公主)와 더불어 당시 태자인 현종(玄宗)의 폐립(廢立)을 모의하였으나 일이 발각되자 자살함.
?~713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자(終子) - 종군(終軍)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문학과 언변이 매우 뛰어나 약관(弱冠)의 나이로 간대부(諫大夫)에 발탁됨. 남월왕(南越王)에게 한(漢)의 내속(內屬)이 될 것을 설득하여 관철시킴으로써 황제로부터 큰 총애을 받음.
?~B.C.11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종자(鍾子) - 종자기(鍾子期)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사람. 백아(伯牙)의 거문고 소리를 잘 이해하였는데,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고 종신토록 연주하지 않으면서, 세상의 음률(音律)을 이해하는 자 없음을 한탄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종재(宗梓) - 최종재(崔宗梓)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주(東州). 평장사(平章事) 최선(崔詵)의 아들이자 최온(崔昷)의 아버지로, 상서 좌복야(尙書左僕射)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종전(從㙉) - 안종전(安從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안방형(安邦炯)의 아들로,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籖)을 지냄.
1493~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종정(宗頂) - 권종정(權宗頂)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종주(宗周)@심종주 - 심종주(沈宗周)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감찰(監察)을 지낸 심금(沈錦)의 아들로, 학문에 뜻을 두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요절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문사>유학
-
종주(宗周)@정종주 - 정종주(鄭宗周)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옹(鄭雍)의 아들로, 1450년(문종 1)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평(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종주(宗周) - 호경(鎬京)
중국 섬서성(陝西省) 장안현(長安縣) 서북쪽에 있던 고대 도시 이름. 주(周) 무왕(武王)이 즉위한 후 풍(豐) 땅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였으며, 낙읍(洛邑)과 함께 서주(西周)시대의 양대 도성(兩大都城)으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종주(從周) - 지종주(池從周)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이황(李滉)의 《송계원명이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서(序)에 이름이 나옴.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종준(宗峻) - 최종준(崔宗峻)
고려 신종(神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의학자(醫學者). 본관은 동주(東州).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내고, 《신집어의촬요방(新集御醫撮要方)》을 지었는데 그 내용의 일부가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전함.
?~1246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종준(宗準) - 이종준(李宗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서화(詩書畵)에 능하고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냈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무고를 받아 국문을 받던 중에 죽음.
?~149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중(從衆) - 노응(路應)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등을 지냈으며, 양양군왕(襄陽郡王)에 봉해짐. 한유(韓愈)의 《한창려집(韓昌黎集)》에 그에 대한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실려 있음.
741~81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종지(宗之)@허종 - 허종(許琮)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손(許蓀)의 아들이며 허침(許琛)의 형. 문무(文武)를 겸비하여 국방과 문예에 큰 공을 남기고, 의학(醫學)에도 조예가 깊었음. 우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434~149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종지(宗之)@이계장 - 이계장(李繼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합천(陜川). 이윤문(李允文)의 아들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십여 년간 여러 지방관을 두루 지내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1465~152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종지(宗之)@정도전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종지(宗之)@정효종 - 정효종(鄭孝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1524년(중종 19) 이해(李瀣) 등과 함께 용산(龍山)에서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