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좌(佐)@홍좌 - 홍좌(洪佐)
고려시대의 문신. 시중(侍中) 홍난(洪鸞)의 후손으로 부계홍씨(缶溪洪氏)의 시조이며, 직장동정(直長同正)을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좌(佐) - 고좌(顧佐)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선종(宣宗) 때의 문신. 성조를 쫒아 북정(北征)에 참여하고, 좌도어사(左都御史)ㆍ응천부 윤(應天府尹)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좌거(左車) - 이좌거(李左車)
중국 진(秦)~전한(前漢) 때의 무신. 조(趙) 나라의 명장 이목(李牧)의 손자. 조왕(趙王) 갈(曷)을 보좌하여 광무군(廣武君)이 되었으나, 한(漢) 나라의 한신(韓信)이 그를 스승으로 섬겨 그의 계책으로 연(燕)ㆍ제(齊)를 굴복시킴.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좌구(左丘) - 좌구명(左丘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태사(太史)를 지냈으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국어(國語)》를 저술하였다고 전해짐. 그의 사적(事跡)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이설(異說)이 분분함.
?~B.C.45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좌구서(左丘書)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구씨(左丘氏) - 좌구명(左丘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태사(太史)를 지냈으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국어(國語)》를 저술하였다고 전해짐. 그의 사적(事跡)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이설(異說)이 분분함.
?~B.C.45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좌길(佐吉) - 석전삼성(石田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명(明)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60~1600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좌명(佐命) - 전좌명(田佐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좌명(佐明) - 김좌명(金佐明)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영의정 김육(金堉)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병조 판서(兵曹判書) 등을 지냄. 영의정(領議政)ㆍ청릉부원군(淸陵府院君)에 추증되고, 현종의 묘정에 배향(配享)됨.
1616~167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좌무(佐武) - 함좌무(咸佐武)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강릉(江陵). 삼척 부사(三陟府使)를 지낸 함헌(咸軒)의 아버지로, 부호군(副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좌사(左史)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세(佐世) - 종린(宗璘)
고려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승려. 인종의 아들로, 화엄종(華嚴宗)으로 출가하여 국태사(國泰寺)ㆍ중흥사(重興寺)ㆍ부석사(浮石寺) 등의 주지를 지내고 승통(僧統)이 됨. 입적한 뒤 국사에 추증되었으며, 용인의 서봉사(瑞峯寺) 터에 비(碑)가 남아 있음.
1127~117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왕실>왕자
-
좌시(佐時) - 남좌시(南佐時)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1381년 밀직부사(密直副使) 권현룡(權玄龍)과 함께 강릉도(江陵道)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함.
?~13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좌씨(左氏) - 좌구명(左丘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태사(太史)를 지냈으며,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ㆍ《국어(國語)》를 저술하였다고 전해짐. 그의 사적(事跡)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이설(異說)이 분분함.
?~B.C.45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좌씨전(左氏傳)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씨춘추(左氏春秋)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전(左傳)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左丘明)이 지었다고 전해지는, 《춘추(春秋)》의 주석서(註釋書). 《국어(國語)》와 표리를 이룸.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좌치(佐治) - 신비(辛毗)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건의관(建議官). 문제(文帝) 때에 시중(侍中)이 되었으며 직간(直諫)을 좋아했음. 견거절함(牽裾折檻)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좌태충(左太冲) - 좌사(左思)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 10년의 노력 끝에 위(魏)ㆍ촉(蜀)ㆍ오(吳) 세 나라의 도읍을 노래한 〈삼도부(三都賦)〉를 완성했는데 당시 문단의 영수였던 장화(張華)에게 절찬을 받아 유명해짐.
250?~3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좌한(左韓) - 조선(朝鮮)
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 태조(太祖)에서 순종(純宗)까지 27대 519년간 존속.
1392~1910 한국>조선시대 , 시간>국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