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주견준(朱見濬) - 헌종(憲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8대 황제. 재위 1464~1487. 영종(英宗)의 아들로, 초년에는 성군(聖君)의 기질이 있었으나, 만년에는 방술(方術)에 탐닉하여 총희(寵姬) 만귀비(萬貴妃)와 향락에 빠짐.
1447~148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경(周卿)@김공석 - 김공석(金公奭)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부장(部將)을 지낸 김성(金城)의 아들이며, 화산군(花山君) 김주(金澍)의 숙부. 북도 병마절도사(北道兵馬節度使)ㆍ청홍도 수군절도사(淸洪道水軍節道使) 등을 지냄.
1477~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주경(周卿) - 도정(度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제자이며, 〈주자연보(周子年譜)〉를 지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경(周經)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주경(朱耕) - 안견(安堅)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후원을 받았으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郭熙派)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주경(胄卿) - 김언상(金彦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서흥(瑞興). 김굉필(金宏弼)의 아들. 음보(蔭補)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1480~154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서흥 , 인명>관인>문신
-
주경유(周景游)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계(朱季) - 주휘(朱暉)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임회 태수(臨淮太守)로 있으면서 정사를 잘하여 그곳 관리와 백성들이 존경하고 사랑하여 노래를 지어 불렀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계(朱溪)@이심원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주계(朱溪) - 무주(茂朱)
전라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신라 때의 무산현(茂山縣)과 고려 때의 주계현(朱溪縣)이 합해진 이름.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대로, 두 나라 경계 관문이었던 나제통문(羅濟通門)이 남아 있음.
전라도>무주 , 지명>행정지명
-
주계군(朱溪君)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주계부정(朱溪副正)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주계정(朱溪正)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주고(周誥)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
-
주고치(朱高熾) - 인종(仁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1525년. 성조(成祖) 영락제(永樂帝)의 장자(長子)로, 영락제의 대외적극책(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음.
1378~1425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공(珠公) - 우운(友雲)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승려. 시중(侍中) 김륜(金倫)의 아들. 어려서 출가하여 화엄종(華嚴宗)의 승려가 되었으며, 현수교관(賢首敎觀)을 깊이 익힘. 공민왕의 신임을 받아 이름 있는 여러 사찰의 주지를 맡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울산 , 인명>종교인>승려
-
주공단(周公旦)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주관(周官) - 주례(周禮)
중국 주(周) 나라의 주공(周公)이 주 나라의 관제(官制)를 기록한 책. 천관(天官)ㆍ지관(地官)ㆍ춘관(春官)ㆍ하관(夏官)ㆍ추관(秋官)ㆍ동관(冬官)으로 직제를 나누어 설명하고,《의례(儀禮)》ㆍ《예기(禮記)》와 함께 삼례(三禮)로 불림.
중국>주 , 중국 , 문헌>서명
-
주광(酒狂) - 금원정(琴元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기묘년에 효우(孝友)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주구(州仇) - 숙손무숙(叔孫武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 자공(子貢)이 공자(孔子)보다 훌륭하다고 평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