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주국낙랑군공신라왕(柱國樂浪郡公新羅王) - 선덕여왕(善德女王)
신라 제27대 왕. 재위 632~647. 진평왕(眞平王)의 딸. 선정(善政)을 베풀어 민생을 보살피고 당(唐) 나라의 문화와 불법(佛法)을 수입하였으며, 분황사(芬皇寺)ㆍ첨성대(瞻星臺)ㆍ황룡사구층목탑(皇龍寺九層木塔) 등을 건립함.
?~647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주금강(周金剛) - 선감(宣鑑)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용담(龍潭) 숭신(崇信)의 제자.《금강경(金剛經)》에 정통하였으며 엄격한 수행으로 유명함. 제자를 가르칠 때 몽둥이를 잘 썼으므로 ‘임제(臨濟)의 할(喝)’이라는 말이 생김.
782~865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주기옥(朱祁鈺) - 대종(代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7대 황제. 재위 1449~1457. 북방민족에게 포로가 된 영종(英宗)을 대신해 황제에 올랐다가, 석방되어 돌아온 영종에 의해 쫓겨남.
1428~145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기진(朱祁鎭)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남(周南) - 이유경(李有慶)@이수원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충청도 도사(忠淸道都事) 이수원(李守元)의 아들.
1497~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주남태사(周南太史) - 사마담(司馬談)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의 문신ㆍ학자. 사마천(司馬遷)의 아버지로, 태사(太史)를 지냈으며, 유가(儒家)ㆍ묵가(墨家)ㆍ법가(法家) 등 제가(諸家)에 능하여 육가(六家)의 학문 요지를 논한 《논육가요지(論六家要旨)》를 저술함.
?~B.C.11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녀(周女) - 태강(太姜)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비(妃). 왕계(王季)의 어머니. 부덕(婦德)이 훌륭하여 태임(太任)ㆍ태사(太姒)와 더불어 주 나라 왕실의 ‘삼모(三母)’로 일컬어짐.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주논개(朱論介) - 논개(論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기(義妓). 전라북도 장수(長水) 출신. 성은 주씨(朱氏). 진주목(晉州牧)의 관기(官妓)로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 중 진주성이 일본군에게 함락될 때 촉석루(矗石樓)에서 왜장 모곡촌문조(毛谷村文助)를 유인하여 껴안고 남강(南江)에 뛰어들어 순국함.
?~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수ㅣ경상도>진주 , 인명>기술인>기생
-
주단(周旦)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주도(周道) - 이행(李行)@고려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우왕(禑王) 때 탐라(耽羅)에 가서 성주(星主)의 아들 고봉례(高鳳禮)를 볼모로 데려옴. 조선 개국 후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52~143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주도(周道)@김행 - 김행(金行)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김국평(金國枰)의 아들이고, 백인걸(白仁傑)ㆍ성수침(成守琛)의 문인(門人). 사도시 정(司䆃寺正)과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냄. 글씨와 무예에도 뛰어났음.
1532~158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주돈실(周惇實)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동(奏東) - 탁주동(卓奏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탁은수(卓殷秀)의 아들이며, 탁일언(卓一言)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주동(注洞) - 주곡(注谷)
경상북도 영양(英陽)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주랑(周郞) - 주유(周瑜)@삼국(오)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무신. 손견(孫堅)의 아들 손책(孫策)과 형제처럼 교유하였으며, 위(魏)의 조조(曹操)가 진격해 오자 촉(蜀)의 제갈공명(諸葛孔明)과 함께 적벽대전(赤壁大戰)에서 위군(魏軍)을 대파하였음.
175~21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주려(周厲) - 여왕(厲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10대 황제. 재위 B.C.877~B.C.841. 포악한 정치를 하여 체(彘) 땅으로 유배되었다가 죽음. 나라를 멸망시킨 덕이 없는 임금으로 알려짐.
B.C.878~B.C.828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려후(周呂侯) - 여택(呂澤)
중국 한(漢) 고조(高祖)의 외척. 황후인 여후(呂后)의 오빠로 유방(劉邦)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주례(朱禮) - 가례(家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유가(儒家)의 예법 의장(禮法儀章)에 관하여 상술한 책. 8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로(周老)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주류성(周留城) - 홍성(洪城)
충청남도에 있는 고을 이름. 조선시대의 홍주목(洪州牧)과 결성현(結城縣)이 합해져 이루어진 고을로, 백제 멸망 후 부흥운동의 최후 항거지였던 주류성(周留城)이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군사상 요지로서 충청도의 5개 진관(鎭管) 중 하나가 설치됨.
충청도>홍주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