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주류하(周流河) - 삼차하(三叉河)
중국 요동(遼東)의 봉성(鳳城) 6리 지점에 있는 강. 요하(遼河)와 혼하(渾河), 태자하(太子河)가 합류한 곳으로, 조선시대 북경(北京)으로 가는 사행(使行) 길에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주륜(周倫) - 주옹(周顒)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 공치규(孔稚圭)와 함께 종산(鍾山)에 은거하고 있었는데, 황제가 부르자 나아가 벼슬하다가 다시 돌아가려고 하니까 공치규가 북산이문(北山移文)을 지어 거절하였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리파(主理派) - 영남학파(嶺南學派)
조선시대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한 성리학파. 초기는 김종직(金宗直)의 영학파(嶺學派), 중기는 조식(曺植) 등의 남명학파(南冥學派), 이황(李滉)의 퇴계학파(退溪學派), 장현광(張顯光)의 여헌학파(旅軒學派)가 성행하다가 후기에는 퇴계학파가 영남학파의 대표가 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 , 인명>집단>조직
-
주만(州滿) - 여공(厲公)@춘추전국(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제후. 경공(景公)의 아들로, 정(鄭) 나라와 초(楚) 나라를 격퇴하여 위세를 떨쳤으나, 교만하고 포악하여 무도한 짓을 자행하다가 대부 난서(欒書)와 순언(荀偃) 등에게 붙잡혀 죽임을 당함.
?~B.C.5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주목(周穆) - 목왕(穆王)@주
중국 주(周) 나라 제5대 국왕. 재위 B.C.976~B.C.922. 소왕(昭王)의 아들.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몽(朱蒙)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주무(周武)@무제 - 무제(武帝)@남북조(북주)
중국 남북조시대 북주(北周)의 제3대 황제. 재위 560~578. 우문태(宇文泰)의 넷째 아들로, 우문호(宇文護)가 명제(明帝)를 독살하고 옹립했는데, 후에 우문호를 제거하고 친정(親政)함. 재임 중에 북제(北齊)를 정벌하고 배불(排佛) 정책을 시행함.
?~57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무(周武) - 무왕(武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대 왕. 재위 B.C.1046~ B.C.1043. 목야(牧野)에서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무릉(周武陵)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무숙(周茂叔)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문(周文)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문(朱文)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문(柱文) - 홍주문(洪柱文)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 도승지(都承旨) 홍만종(洪萬鍾)의 아버지로, 예산 현감(禮山縣監) 등을 지냈으며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주문공(朱文公)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주문공가례(朱文公家禮) - 가례(家禮)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유가(儒家)의 예법 의장(禮法儀章)에 관하여 상술한 책. 8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발(周發) - 무왕(武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제1대 왕. 재위 B.C.1046~ B.C.1043. 목야(牧野)에서 은(殷) 나라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백(周伯)@문주백 - 문주백(文周伯)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정간공(靖簡公) 문천강(文天降)의 아들로, 내의시랑(內議侍郞)ㆍ대사마(大司馬)ㆍ상주국 평장사(上柱國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주백(周伯) - 문걸(文傑)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감천(甘泉). 문숭질(文崇質)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지냈음.
?~150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주백인(周伯仁) - 주의(周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원제(元帝) 때 형주 자사(荊州刺史)ㆍ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을 지냈으나, 반란을 일으킨 진동대장군(鎭東大將軍) 왕돈(王敦)에 의해 살해됨.
269~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범(疇範) - 서경(書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 당우(唐虞) 삼대(三代)에 걸친 중국 고대의 기록임. 58편.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