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보(仲保) - 박용(朴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인종(仁宗)의 장인. 딸이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자 종친부 전첨(宗親府典籤)이 되었고, 후에 금성부원군(錦城府院君)에 추봉됨.
1468~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중보(仲父)@관중 - 관중(管仲)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재상. 부국강병(富國强兵)의 정치를 이룩하여 제후를 규합하고 천하를 통일함으로써 환공(桓公)을 춘추오패(春秋五霸)의 으뜸이 되게 함.
?~B.C.6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보(仲父) - 강회중(姜淮仲)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고려 말에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냄. 조선 개국 이후 4차에 걸쳐 관직을 내리고 출사를 권했으나 끝내 불응함.
?~144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중보(仲父)@왕도 - 왕도(王導)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재상(宰相). 원제(元帝)의 총애로 정승에 오르고, 명제(明帝)와 성제(成帝)를 보좌하여 동진의 기초를 다짐.
276~3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보(仲父)@이곡 - 이곡(李穀)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아버지로, 원(元) 나라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받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본국에서 정당문학(政堂文學)ㆍ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1298~1351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보(仲甫) - 하위지(河緯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주(晉州). 문장이 뛰어나 《역대병요(歷代兵要)》등의 편찬에 참여함.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됨.
141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보(仲輔)@한중보 - 한중보(韓仲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하남부 총관(河南府摠管)을 지낸 한영(韓永)의 아들로, 원(元) 나라에서 시의사 통사사인(侍儀司通事舍人)ㆍ중흥무공고 부사(中興武功庫副使) 등을 역임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중보(仲輔) - 강익(姜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주(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1566년(명종 21) 영남 유생 33인의 소두(疏頭)로 정여창(鄭汝昌)을 제향한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사액을 청하여 성사시킴,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을 지냄.
1523~156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
-
중보(重甫) - 박승임(朴承任)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심학(心學)과 성리학(性理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영주(榮州)의 구산정사(龜山精舍)에 제향됨.
1517~15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봉(中峰) - 명본(明本)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 일본유학승 용산(龍山)의 스승. 인종(仁宗)이 불렀으나 가지 않아 인종이 금문(金紋)가사를 보내고 불자원조광혜선사(佛慈圓照廣惠禪師)라 사호함. 저서에 《광록(廣錄)》이 있음.
1263~1321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중봉(仲峰) - 박의(朴漪)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참찬(左參贊) 박동량(朴東亮)의 아들로,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교리(校理)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중봉집(仲峰集)》이 있음.
1600~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봉(重峯)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중봉명본선사(中峰明本禪師) - 명본(明本)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 일본유학승 용산(龍山)의 스승. 인종(仁宗)이 불렀으나 가지 않아 인종이 금문(金紋)가사를 보내고 불자원조광혜선사(佛慈圓照廣惠禪師)라 사호함. 저서에 《광록(廣錄)》이 있음.
1263~1321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중봉선생문집(重峰先生文集) - 중봉집(重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조헌(趙憲)의 문집. 3책. 목판본. 안방준(安邦俊)이 정리하고, 송시열(宋時烈)이 저자의 증손이자 자신의 제자인 조광한(趙匡漢)과 함께 문집의 초본을 완성하였으며, 1666년(현종 7) 전라 감사인 민유중(閔維重)이 간행함.
166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중봉선생항의신편(重峯先生抗義新編) - 항의신편(抗義新編)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조헌(趙憲)의 유문(遺文) 및 행록(行錄)을 수록한 책. 4권 2책. 목판본. 이정귀(李廷龜)와 안방준의 서(序), 조헌의 행적을 나타낸 그림이 실려 있으며, 《중봉집(重峯集)》과 《은봉전서(隱峯全書)》에 수록됨.
162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중부(中父) - 여칭(呂稱)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고려 말에 전라도 안렴사(全羅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에는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등을 지냄.
1351~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중부(仲夫) - 정중부(鄭仲夫)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1170년(의종 24)에 의종이 무신을 학대하는 데에 불만을 품고 정변을 일으켜 임금을 폐하고 정권을 잡은 후 무단 정치를 행하다가 경대승(慶大升)에게 피살됨.
1106~1179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중부(仲孚)@나사침 - 나사침(羅士忱)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진원 현감(晉原縣監)을 지낸 나질(羅晊)의 아들로, 이성 현감(尼城縣監)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무고(誣告)로 인해 문초(問招)를 받았으나 바로 석방됨.
1525~159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중부(仲孚)@배중부 - 배중부(裵仲孚)
고려 후기의 문인. 김덕유(金德儒)ㆍ이직(李稷) 등과 교유함. 《동문선(東文選)》과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시가 전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중부(仲孚)@정포 - 정포(鄭誧)
고려 후기의 문신. 정해(鄭瑎)의 손자이자 정책(鄭㥽)의 아들로,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를 지냄. 시와 문장이 간결하고 예스러우며, 《설곡집(雪谷集)》이 전해짐.
1309~134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