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심(仲深)@구준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아(仲雅) - 김공예(金公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문의 현령(文義縣令)을 지낸 차헌(次軒) 김지(金墀)의 아들로,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를 역임함.
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악(中嶽) - 숭산(嵩山)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 북쪽에 있는 산. 중국 오악(五嶽)의 하나로 방위상 중앙에 위치하며, 남북조시대부터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 유명하였고, 소림사(少林寺) 등의 사찰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중악산(中嶽山) - 숭산(嵩山)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 북쪽에 있는 산. 중국 오악(五嶽)의 하나로 방위상 중앙에 위치하며, 남북조시대부터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 유명하였고, 소림사(少林寺) 등의 사찰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중안(仲安)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중안(仲安)@이중안 - 이중안(李仲安)
조선 전기의 유학. 유방선(柳方善)의 《태재집(泰齋集)》에 그에게 보낸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중안(仲安)@오윤지 - 오윤지(吳允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로, 전생서 봉사(典牲署奉事)를 지낸 오치정(吳致精)의 아들.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진천 , 인명>문사>유학
-
중안(仲安)@오흠로 - 오흠로(吳欽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길재(吉再)로부터 학문을 배워 도학에 밝았음.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고 효성으로 이름이 났으며 황주 판관(黃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울산 , 인명>관인>문신
-
중암(中庵) - 수윤(守允)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 때의 승려. 조선에 있을 때 이행(李行)이 소를 타고 노닐던 모습을 담은 〈월하기우도(月下騎牛圖)〉를 그렸는데, 권근(權近)이 기우도(騎牛圖)에 대한 시를 지어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중암거사(中菴居士) - 채홍철(蔡洪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권한공(權漢功)과 함께 원(元)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瀋王) 고(暠)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암도사(中巖道士) - 사마승정(司馬承禎)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ㆍ학자. 반사정(潘師正)에게 벽곡도인술(辟穀導引術)을 전수받았으며, 《도덕경(道德經)》의 정본(定本)을 만듦.
647~735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ㅣ인명>문사>학자
-
중앙(仲昻) - 충선왕(忠宣王)
고려 제26대 왕. 재위 1298, 1308~1313. 충렬왕(忠烈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 토지와 관제개혁 등 일련의 혁신정치를 시도하고, 원(元) 나라 연경(燕京)에 만권당(萬卷堂)을 세워 서적수집과 학자들의 문화교류에 큰 영향을 줌.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중야(仲野) - 이운(李耘)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음애(陰崖) 이자(李耔)의 형. 공조 참의(工曹參議) 등을 지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9~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중약(仲約) - 황박(黃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들로, 을사사화 때 권벌(權橃)ㆍ이언적(李彦迪)을 두둔하다 중도부처(中途付處)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언(仲偃) - 유갑(劉韐)
중국 송(宋) 나라의 충신. 흠종(欽宗) 때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모욕을 당하자 스스로 자결함.
1067~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언(仲彦)@박승준 - 박승준(朴承俊)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진사(進士) 박형(朴珩)의 아들. 선조(宣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소고(嘯皐) 박승임(朴承任)의 형으로, 1543년(중종 3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중언(仲彦) - 이세우(李世佑)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극감(李克堪)의 아들로, 강직하고 사심 없는 성품으로 성종의 신임을 받았으며, 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등을 역임함.
1449~149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중언(仲言) - 하손(何遜)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 시문(詩文)에 뛰어나 범운(范雲)과 망년(忘年)의 교유를 맺고, 건안왕(建安王)ㆍ여릉왕(廬陵王) 등 왕족들의 총애를 받음. 유효작(劉孝綽)과 더불어 ‘하유(何劉)’로 병칭됨.
?~5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중엄(仲淹)@김중엄 - 김중엄(金仲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성종(成宗) 때 대사헌(大司憲)ㆍ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뉴(金紐)의 아버지. 왕세자 시절 문종(文宗)의 빈(嬪)이었던 휘빈(徽嬪)의 오빠로 부지돈녕부사(副知敦寧俯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관인>문신
-
중엄(仲淹)@범중암 - 범중엄(范仲淹)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곽황후(郭皇后)의 폐립 문제로 여이간(呂夷簡)과 대립하고, 구양수(歐陽修)ㆍ한기(韓琦) 등과 붕당을 형성함.
989~105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