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죽유(竹牖)@홍가신 - 홍가신(洪可臣)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민순(閔純)의 문인으로,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淸亂功臣)에 책록됨.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에 입각하여 노장(老莊)ㆍ불교(佛敎)를 비판함.
1541~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죽유(竹牖) - 오운(吳澐)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이황(李滉)ㆍ조식(曺植)의 문인.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의병으로 활동함.
1540~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죽유문집(竹牖文集) - 죽유집(竹牖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오운(吳澐)의 저서. 6권 3책. 목판본. 7세손 오사중(吳司重)이 편집한 것을 1783년(정조 7)에 간행하고, 이급(李級)과 이수정(李守定)의 서문, 한광선(韓光善)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8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유선생문집(竹牖先生文集) - 죽유집(竹牖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오운(吳澐)의 저서. 6권 3책. 목판본. 7세손 오사중(吳司重)이 편집한 것을 1783년(정조 7)에 간행하고, 이급(李級)과 이수정(李守定)의 서문, 한광선(韓光善)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8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은(竹隱)@부백성 - 부백성(傅伯誠)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부백수(傅伯壽)의 아우로, 어릴 때부터 주자(朱子)에게서 배움. 이종(理宗)이 즉위했을 때 현모각 학사(顯謨閣學士)로 삼으려 했으나 나아가지 않음.
1143~122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죽은(竹隱) - 강중진(康仲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류(杖流)됨.
1459~152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죽음(竹陰) - 이만영(李萬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으로, 이석(李碩)의 아들.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냈으며, 문장(文章)과 행의(行誼)로 유명하여 《함평선행록(咸平善行錄)》에 행적이 올라 있음.
1510~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죽재(竹齋)@윤긍 - 윤긍(尹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우의정 윤사분(尹士昐)의 아들. 이조 참의(吏曹參議) 시절 정여창(鄭汝昌)ㆍ김굉필(金宏弼) 등을 천거하였으며, 호조 판서 등을 역임한 후 사직하고 팔공산(八公山)에 들어가 향풍(鄕風)을 순화함.
1432~148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재(竹齋)@곽간 - 곽간(郭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현풍(玄風)으로, 사인(舍人) 곽지견(郭之堅)의 아들. 문정왕후(文定王后)의 불교부흥 정책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언관의 자리에서 파직됨. 종부시 정(宗簿寺正)ㆍ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냄.
152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죽재(竹齋)@윤인함 - 윤인함(尹仁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파평(坡平).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경주(慶州)가 함락되자 의병을 모집하여 활동함. 문장과 그림에 능하고, 특히 대나무를 잘 그림.
1531~159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죽재(竹齋)@양철견 - 양철견(梁鐵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수의부위(修義副尉) 양옥정(梁玉精)의 아들로, 1515년(중종 10)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죽재(竹齋) - 김부의(金富儀)@조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1525~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죽재(竹齋)@안침 - 안침(安琛)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순흥(順興).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로 《성종실록(成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문장과 송설체(松雪體)에 능함.
1445~151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죽재(竹齋)@오석복 - 오석복(吳碩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오언의(吳彦毅)의 아버지로, 의령 현감(宜寧縣監)을 지냄.
1455~15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죽재(竹齋)@양사기 - 양사기(楊士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양희수(楊希洙)의 아들로, 원주(原州) 등 7개 읍의 수령(守令)을 역임하였으며, 형 양사준(楊士俊)ㆍ양사언(楊士彦)과 함께 시(詩)에 뛰어났음.
1531~15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재문집(竹齋文集) - 죽재집(竹齋集)@곽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곽간(郭趕)의 시문집. 손자 곽집(郭㠎)이 유고를 수집하여 1613년(광해군 5)에 간행함.
161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재선생문집(竹齋先生文集) - 죽재집(竹齋集)@곽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곽간(郭趕)의 시문집. 손자 곽집(郭㠎)이 유고를 수집하여 1613년(광해군 5)에 간행함.
161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정(竹亭)@탁신 - 탁신(卓愼)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예의 판서(禮儀判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 경학(經學)에 밝고 무예(武藝)ㆍ음률(音律)에도 능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36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죽정(竹亭)@최유경 - 최유경(崔有慶)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우왕(禑王)에게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고변하였으나, 훗날 태조(太祖)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고위관직을 두루 지내고,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녹훈됨.
1343~141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죽정(竹亭)@박진 - 박진(朴晉)
고려 후기~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본관은 완산(完山)으로, 직제학(直提學)인 최직지(崔直之)ㆍ최덕지(崔德之)의 외숙(外叔). 청도 군사(淸道郡事) 등을 지냈으며, 아버지가 죽자 여묘(廬墓) 3년을 지내 1398년(태조 7)에 정려(旌閭)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