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죽천(竹泉) - 노흠(盧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로, 조식(曺植)의 문인.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別提)ㆍ찰방(察訪)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1527~160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삼가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죽천대(竹千代) - 덕천가강(德川家康)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의 초대 장군(將軍). 풍신수길(豊臣秀吉) 아래에서 빼어난 전략가로 있었으나 풍신수길 사후 그의 일족을 멸하고 전국(戰國)을 제패하여 강호 막부(江戶幕府)를 세움.
1543~1616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죽천문집(竹川文集) - 죽천집(竹川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박광전(朴光前)의 시문집. 1책. 목판본. 문인 선정달(宣廷達)이 수집하고, 후손 박봉석(朴鳳錫) 등이 편차하였으며, 1754년(영조 30) 5대손 박내석(朴乃錫) 등이 간행함. 1809년(순조 9) 후손 박형덕(朴馨德) 등이 중간본을, 1929년 박태선(朴泰璿) 등이 삼간본을 간행함.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천선생문집(竹川先生文集) - 죽천집(竹川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박광전(朴光前)의 시문집. 1책. 목판본. 문인 선정달(宣廷達)이 수집하고, 후손 박봉석(朴鳳錫) 등이 편차하였으며, 1754년(영조 30) 5대손 박내석(朴乃錫) 등이 간행함. 1809년(순조 9) 후손 박형덕(朴馨德) 등이 중간본을, 1929년 박태선(朴泰璿) 등이 삼간본을 간행함.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죽촌(竹村)@박계영 - 박계영(朴啓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판(禮曹參判) 박진원(朴震元)의 아들로, 1630년(인조 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9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촌(竹村) - 조숭문(趙崇文)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부정(副正) 조유(趙瑜)의 아들. 성삼문(成三問) 등의 단종(端宗) 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아들 조철산(趙哲山)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무신
-
죽취(竹醉) - 김제겸(金濟謙)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아들.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죽은 3학사(學士)의 한 사람으로,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680~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죽탄(竹灘) - 원개(元槩)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원주(原州).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유학(遊學)하였으며, 고행(高行)으로 참봉(參奉)에 천거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유학
-
죽피옹(竹皮翁) - 이산해(李山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대북(大北)의 영수로,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킨 정철(鄭澈)을 탄핵하고,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
1539~16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죽헌(竹軒)@황준량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죽헌(竹軒)@이증 - 이증(李增)@이이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여섯 번째 서자인 진남군(鎭南君) 이종생(李終生)의 손자이자, 봉성군(鳳城君) 이이(李𢓡)의 아들이며, 돈녕부정(敦寧府正) 윤승홍(尹承弘)의 장인.
1453~150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죽헌(竹軒)@정재륜 - 정재륜(鄭載崙)
조선 제17대 효종(孝宗)의 부마. 본관은 동래(東萊). 영의정 정태화(鄭太和)의 아들로 좌의정 정치화(鄭致和)에게 출계하여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淑靜公主)와 혼인함.
1648~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ㅣ인명>문사>문인
-
죽헌(竹軒) - 김륜(金倫)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렬왕ㆍ충혜왕(忠惠王) 등을 시종해 원(元) 나라에 가 외교문제를 해결함.
127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죽헌(竹軒)@탁념 - 탁념(卓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예의 판서(禮儀判書)를 지낸 탁광무(卓光茂)의 아들로, 전의감 정(典醫監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죽헌(竹軒)@정두 - 정두(鄭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진사 정언보(鄭彦輔)의 아들이며,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1508~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죽혜(竹蹊) - 이윤종(李尹宗)
조선 전기의 유학. 시문(詩文)에 뛰어났고, 남효온(南孝溫)과 교유하였으며, 《추강집(秋江集)》에 그와 관련한 글이 여러 편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죽호(竹湖) - 고홍달(高弘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제주(濟州)로, 성주 통판(星州通判) 고현(高晛)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유일(遺逸)로 천거되었으나 곧 물러나 부안(扶安)에 은거하여 학문에 몰두하였고, 권필(權韠)과 교유하였음.
1575~164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문사>학자
-
준(䞭) - 곽준(郭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지완(郭之完)의 아들이며, 배신(裵紳)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김면(金沔)의 막하에 들어가 많은 공을 세웠으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황석산성(黃石山城)을 지키다 순국함.
1551~159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현풍 , 인명>관인>문신
-
준(俊)@성준 - 성준(成俊)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순조(成順祖)의 아들로, 좌의정ㆍ영의정 등을 지냄. 1495년(연산군 1) 시폐십조(時弊十條)를 주청하는 등 난정(亂政)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함.
1436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준(俊)@진준 - 진준(陳俊)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양(驪陽)으로, 진총후(陳寵厚)의 아들.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냈고, 무신정변(武臣政變)이 일어났을 때 많은 문신(文臣)들을 보호함.
?~117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