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준(俊) - 이준(李俊)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손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준(俊)@권준 - 권준(權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남궁희(南宮憘)의 사위이며, 청하(靑霞) 권극중(權克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문사>유학
-
준(俊)@경준 - 경준(慶俊)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1466년(세조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등을 지냄. 관기 확립에 힘쓰고, 목민관(牧民官)으로서 선정도 많이 베풂.
?~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준(俊)@조선 - 김준(金俊)@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울산(蔚山)으로, 중종(中宗)~명종(明宗) 때 고부 군수(古阜郡守)를 지낸 김응두(金應斗)의 아버지.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인명>문사>유학
-
준(埈) - 노준(盧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좌통례(左通禮)를 지낸 노한문(盧漢文)의 아들. 선조 때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埈)@이준 - 이준(李埈)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남인(南人) 세력을 결집하고 여론을 주도함. 임진왜란(壬辰倭亂)ㆍ정유재란(丁酉再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미를 조달함.
1560~163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준(埈)@신준 - 신준(申埈)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경진(申景禛)의 아들로,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준(寯) - 이준(李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황(李滉)의 아들로, 봉화 현감(奉化縣監)ㆍ의흥 현감(義興縣監)ㆍ군자시 첨정(軍器寺僉正) 등을 지냄.
1523~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준(峻) - 김준(金峻)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책(金策)의 아버지로, 좌복야(佐僕射)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준(峻)@박준 - 박준(朴峻)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흥(義興).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를 지낸 박한(朴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흥 , 인명>문사>유학
-
준(嶟) - 김준(金嶟)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우봉 현감(牛峯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준(浚)@허준 - 허준(許浚)
조선 전기의 유학. 최연(崔演)의 《간재집(艮齋集)》에, 그에 대해 쓴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준(浚)@양준 - 양준(楊浚)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학자
-
준(浚)@신준 - 신준(申浚)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내면서 언로(言路)의 개방 등 시무십조(時務十條)를 진언하였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1444~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浚) - 이준(李浚)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둘째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성종(成宗)을 몰아내려 한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아 영해(寧海)에 유배되어 죽음.
1441~147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준(浚)@조준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준(浚)@박준 - 박준(朴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음률(音律)에 밝아 《악장가사(樂章歌詞)》를 지었다고 전해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준(浚)@윤준 - 윤준(尹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윤시걸(尹時傑)의 셋째 아들로,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를 비호하였다는 구사안(具思顔)의 밀계(密啓)로 인해 형 윤결(尹潔)과 함께 처형됨.
1520~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준(準) - 구준(寇準)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추밀원 직학사(樞密院直學士) 등을 지내고 재상에 올라 거란(契丹)의 침입 때 많은 공을 세움. 주로 자연의 애수를 읊은 시를 지었고, 저서로《구충민공시집(寇忠愍公詩集)》을 남김.
961~10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준(準)@오준 - 오준(吳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었다가 다시 서용(敍用)되어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