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준(準)@조선전기 - 이준(李準)@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증손인 결기수(結己守) 이현(李玄)의 맏아들이며, 삼휴자(三休子) 윤관(尹寬)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준(準)@조선후기 - 이준(李準)@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때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이이첨(李爾瞻)ㆍ정인홍(鄭仁弘)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유폐하는 등 정사를 어지럽히자 벼슬을 버리고 은퇴함.
1545~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準)@권준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준(準)@한준 - 한준(韓準)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한수경(韓守慶)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사건을 알리는 비밀장계를 올린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글씨를 잘 써서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1542~1601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濬)@민준 - 민준(閔濬)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麗興).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를 의주까지 호종(扈從)한 공으로 호성 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녹훈되었고, 청렴한 공직자로 청백리에 선록(選錄)됨.
1532~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濬)@고려후기 - 최준(崔濬)@고려후기
고려 후기의 문신. 원(元) 나라에서 요양행성 참지정사(遼陽行省參知政事) 등을 역임했고, 어사(御史)로서 고려에 사는 부모를 근성(覲省)하러 온 내용의 시가 정포(鄭誧)의 《설곡집(雪谷集)》에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준(濬)@최한중의아들 - 최준(崔濬)@최한중의아들
조선 영조(英祖) 때의 역관. 본관은 경주(慶州). 만호(萬戶) 최한중(崔漢重)의 아들로, 1741(영조 17) 식년시(式年試) 역과(譯科)에 급제하여 상통사(上通事)를 지냄
17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역관
-
준(濬)@최숙의아들 - 최준(崔濬)@최숙의아들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최숙(崔淑)의 아들로,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정랑(刑曹正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준(濬)@최덕산의아들 - 최준(崔濬)@최덕산의아들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단계(丹溪).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낸 최덕산(崔德山)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의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문사>유학
-
준(濬)@김준 - 김준(金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김경제(金敬悌)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박승임(朴承任)이 그에게 차운한 시가 《소고집(嘯皐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준(濬) - 구준(丘濬)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에 매우 웅장하고 전례(典例)와 고사(故事)에 정통함. 《영종실록(英宗實錄)》ㆍ《헌종실록(憲宗實錄)》을 편찬하고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를 저술함.
1420~1495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준(濬)@심준 - 심준(沈濬)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沈彦光)의 아버지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내고 좌찬성(左贊成)ㆍ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준(濬)@최여우의아들 - 최준(崔濬)@최여우의아들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최전(崔澱)의 아우이며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찰방(察訪)을 지내고, 《창해우언(滄海寓言)》을 저술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竴) - 이준(李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이달충(李達衷)의 맏아들로, 1360년(공민왕 9) 동당시(東堂試)에 입격하고, 호조 전서(戶曹典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준(綧) - 왕준(王綧)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종친. 현종(顯宗)의 후손으로 청화후(淸化侯) 왕경(王璟)의 아들이며,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의 동생. 1241년(고종 28) 고종의 명으로 왕자라 칭하고 독로화(禿魯花)가 되어 몽고에 감.
1223~12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준(蹲) - 권준(權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에 협력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준(遵) - 기준(奇遵)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행주(幸州).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유배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교살됨.
1492~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遵)@양준 - 양준(梁遵)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양석재(梁碩材)ㆍ양동재(梁棟材) 형제의 아버지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준(駿) - 양준(楊駿)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무제(武帝)의 장인이며, 무도양황후(武悼楊皇后)의 아버지. 무제가 죽고 혜제(惠帝)가 즉위하자, 국정을 도맡아서 자기의 친당(親黨)만을 등용하여 정권을 전횡하다가, 가후(賈后)에게 미움을 받아 삼족(三族)이 멸하게 됨.
?~29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준겸(俊謙) - 우준겸(禹俊謙)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우성윤(禹成允)의 아들이며,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우성전(禹性傳)의 아버지.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