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준겸(浚謙) - 한준겸(韓浚謙)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경성 판관(鏡城判官)을 지낸 한효윤(韓孝胤)의 아들이며, 인조의 장인. 예학(禮學)과 국가의 고사(故事)에 밝고,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557~16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경(俊京) - 척준경(拓俊京)
고려 숙종(肅宗)~인종(仁宗) 때의 무신. 곡산척씨(谷山拓氏)의 시조. 이자겸(李資謙)의 난에 가담하였다가 왕의 권유로 뜻을 바꾸어 이자겸을 귀양 보내는 데 공을 세우고, 이후 권세를 휘두르다가 유배된 뒤 다시 복권됨.
?~1144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준경(俊卿)@진준경 - 진준경(陳俊卿)
중국 송(宋)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재상. 진복(陳宓)의 아버지.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을 거쳐 소사(少師)ㆍ위국공(魏國公)으로 치사함. 치란(治亂)과 안위(安危)에 관해 직언을 잘함.
1113~118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준경(俊卿) - 노준경(盧俊卿)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우위 대호군(左右衛大護軍) 노단(盧亶)의 아들이며, 우의정(右議政) 노숭(盧嵩)의 아버지로, 감찰 지평(監察持平)을 지냄. 1343년(충혜왕 4) 원(元) 나라 사신에게 피살됨.
?~134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준경(峻卿) - 박희량(朴希良)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된 후 명승지를 유람할 때, 서자적(徐自適)ㆍ박원량(朴元良)ㆍ최광한(崔光瀚)ㆍ공상린(孔祥麟)ㆍ신희눌(愼希訥)ㆍ박감(朴敢) 등과 함께 종유(從遊)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준경(浚慶)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계(俊季) - 이광준(李光俊)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이민성(李民宬)ㆍ이민환(李民寏)의 아버지. 1561년(명종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충주 목사(忠州牧使)ㆍ강원도 감사(江原道監司) 등을 지냄. 구봉령(具鳳齡) 등과 교유함.
1531~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준길(浚吉) - 송준길(宋浚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기년제(朞年祭)를 주장함. 송시열(宋時烈)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李珥)의 학설을 지지함.
1606~16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준덕(駿德) - 성준덕(成駿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교리(校理)를 지낸 성담년(成聃年)의 증손으로, 동생 성문덕(成聞德)과 함께 성혼(成渾)을 방문하여 교유한 일이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준도(遵道) - 홍적(洪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당양부원군(唐陽府院君) 홍인우(洪仁祐)의 아들로, 삼화 현령(三和縣令)을 지낸 홍인범(洪仁範)에게 출계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경학(經學)에 밝고 논사(論思)를 잘 하여 홍문관(弘文館)에서 ‘학사전재(學士全才)’라 불림.
154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준량(俊良) - 황준량(黃俊良)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해(平海).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호조 좌랑(戶曹佐郞)ㆍ신녕 현감(新寧縣監) 등을 지내고, 교육진흥에 힘을 기울여 문묘(文廟)를 수축하고 백학서원(白鶴書院)을 창설하는 등의 많은 치적을 남김.
1517~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준례(遵禮) - 김준례(金遵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평(海平). 성종(成宗) 때 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낸 김맹성(金孟性)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준립(俊立) - 탁준립(卓俊立)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훈도(訓導) 탁연(卓淵)의 맏아들이며, 탁준정(卓俊挺)ㆍ탁순인(卓純仁)의 형.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준미(遵美) - 신준미(申遵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취소된 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
1491~156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준민(俊敏) - 한준민(韓俊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송재(松齋) 한충(韓忠) 손자로, 영릉 참봉(英陵參奉) 등을 지내다가 광해군 때 사직하였음.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준민(俊民) - 이준민(李俊民)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냈으나, 동서(東西)의 당론(黨論)이 심해지자 병을 칭탁하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당론을 조정하려던 이이(李珥)를 존경함.
1524~159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준봉(隼峰) - 고종후(高從厚)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아들로, 임피 현령(臨陂縣令) 등을 지냄.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종군하여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될 때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죽음.
1554~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준부(俊夫) - 방응현(房應賢)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조식(曺植)ㆍ이항(李恒)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나 과거(科擧)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임란의병장 변사정(邊士貞)과 친교가 두터웠음.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문인
-
준성(遵聖)@조계은 - 조계은(曺繼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조 좌랑(吏曹佐郞) 조언경(曺彦卿)의 아버지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준성(遵聖) - 이중현(李仲賢)
조선 전기의 문신. 양양 부사(襄陽府使)를 역임하였으며, 도량이 넓고 백성을 사랑하여 선정(善政)을 베풂.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