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중경(仲畊) - 전귀생(田貴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ㆍ문인.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삼사좌윤(三司左尹)ㆍ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냈으나, 고려 말엽에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두문동에 들어가 조선의 태조(太祖)가 여러 차례 불러도 나오지 않고 여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문인
-
중경(仲經) - 조전(趙典)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 행실이 돈독하고 학식이 뛰어났으며 황제에게 직언(直言)을 잘 하기로 유명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경(仲耕) - 윤자임(尹自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금손(尹金孫)의 아들로, 문무를 겸비하고 삼사(三司)의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좌승지로 있을 때 조광조(趙光祖)의 일파로 몰려 북청(北靑) 배소에서 죽음.
1488~151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중경(重卿)@성임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중경(重卿)@구일 - 구일(具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공조 판서 구인기(具仁墍)의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으로 있을 때 묵은 땅을 개간하는 등 치적이 있었고,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20~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무신
-
중경(重卿) - 이사균(李思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폐비(廢妃) 윤씨(尹氏) 복위의 부당성을 주장하다가 보은(報恩)으로 유배되고, 기묘사화(己卯士禍) 후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좌천되었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1471~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중경(重慶) - 이중경(李重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영부(李英符)의 아들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 여러 요직을 두루 지냄.
1517~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경부(仲慶父) - 경보(慶父)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환공(桓公)의 아들. 이복형인 장공(莊公)이 죽자 제후의 자리를 노리고 장공의 아들인 민공(閔公)을 시해하였으나, 민공의 외삼촌인 제(齊) 환공(桓公)에 의해 궁지에 몰리다가 자살함.
?~B.C.66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중계(重啓) - 심건(沈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심봉원(沈逢源)의 아들로,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ㆍ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1519~15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고(中考) - 중종(中宗)@조선
조선 제11대 국왕. 재위 1506~1544.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즉위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조광조(趙光祖) 등을 중용하여 왕도정치를 실시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이후 정국이 혼미를 거듭하면서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중고(仲固) - 유온(劉韞)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유갑(柳韐)의 동생으로, 조산대부(朝散大夫)를 지내고, 은거하여 정원의 화목(花木)을 즐기며 시를 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고(仲高) - 이영(李嶸)@1560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 등을 지냈으며, 이이(李珥)ㆍ성혼(成渾)과 학문적 교유를 나눌 정도로 경전에 밝았음.
1560~158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중곤(仲坤) - 신중곤(辛仲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월(寧越). 신내옥(辛乃沃)의 아버지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ㆍ어모장군(禦侮將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무신
-
중공(仲公) - 뇌의(雷義)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무재과(茂才科)에 급제하여 그 자격을 진중(陳重)에게 양보하였으나 자사(刺使)가 들어주지 않자, 거짓으로 미친 체하고 벼슬을 받지 않으므로 삼부(三府)에서 두 사람 모두 벼슬을 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중공(仲恭) - 박거겸(朴居謙)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ㆍ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3~14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중관(仲寬) - 강위(姜偉)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예조 참판(禮曹參判) 강징(姜澂)의 아들로, 경상도 도사(慶尙道都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중관(重寬) - 안중관(安重寬)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킨 안방준(安邦俊)의 생부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중광(重光) - 후주(後主)@오대십국(남당)
중국 오대십국 남당(南唐)의 제3대 국왕. 정치가로서의 역량보다 학문ㆍ문예ㆍ서화에 뛰어났으나, 주연(酒宴)에 빠져 국가의 멸망을 초래함. 반비(潘妃)로 인해 유명해진 전족(纏足)의 풍습이 후주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음.
937~978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중광(重光)@유중광 - 유중광(柳重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유찬(柳燦)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중구(仲久) - 이담(李湛)@151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용인(龍仁).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양산(梁山)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
1510~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