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순(子順)@한계희 - 한계희(韓繼禧)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혜(韓惠)의 아들로, 남이(南怡)의 옥사와 성종의 즉위 때 공을 세워 두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경국대전(經國大典)》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함.
1423~14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 - 남제(南悌)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ㆍ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역임함. 강희맹(姜希孟) 누이의 아들로, 《사숙재집(私淑齋集)》에 강희맹의 기시(寄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양이정 - 양이정(楊履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복건성(福建省) 천주(泉州) 사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순(子順)@원효연 - 원효연(元孝然)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세조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예조 판서 등을 역임함.
?~146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임제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순(子順)@기진 - 기진(奇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기묘명현(己卯名賢) 기준(奇遵)의 형이고, 기대승(奇大升)의 아버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아우 기준이 죽자 광주(光州)에 은거하면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487~15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자순(子順)@박효남 - 박효남(朴孝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장단 부사(長湍府使) 박옹(朴顒)의 아들로, 지방관으로 재직시 선정을 베풀어 공덕비가 세워짐.
1553~16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자순대비(慈順大妃)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순대비윤씨(慈順大妃尹氏)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순왕대비(慈順王大妃) - 정현왕후(貞顯王后)
조선 제9대 성종(成宗)의 계비(繼妃). 우의정을 지낸 윤호(尹壕)의 딸이며, 중종(中宗)의 생모.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씨(尹氏)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
1462~153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술(子述)@임계중 - 임계중(任繼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 등과 교유하고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천(漣川)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81~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자술(子述) - 이승효(李承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김안로(金安老)의 문인.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 등을 지냈으며,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뒤 진우(陳宇)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京外)로 추방됨.
151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자승(子乘) - 손우(孫虞)
중국 전국시대 때의 역학자(易學者). 공자(孔子)의 역학(易學) 전승에 있어 제5대 전수자로, 주추(周醜)에게 역학을 전수받아 전하(田何)에게 전수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승(自繩) - 신자승(申自繩)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ㆍ좌의정을 지낸 신개(申槩)의 아들로,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자시(子始) - 강종수(姜終壽)
조선 전기의 문신. 주부(主簿)를 지내고 신광한(申光漢)ㆍ심언광(沈彦光)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伸) - 김한걸(金漢傑)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1546년(명종 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愼)@문할 - 문할(文劼)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움.
1563~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자신(子愼)@임서 - 임서(林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으로, 임복(林復)의 아들. 이괄(李适)의 난 때 공을 세워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1570~162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愼) - 최명창(崔命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부사과(副司果) 최철손(崔鐵孫)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466~153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愼)@조종경 - 조종경(趙宗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팽(趙彭)의 아들로, 전한(典翰)ㆍ사섬시 정(司贍寺正) 등을 지냄. 김안로의 탄핵으로 파직되자 과천(果川)으로 내려가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95~153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과천ㅣ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