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신(子愼)@유견오 - 유견오(庾肩吾)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시인(詩人). 유신(庾信)의 아버지. 궁체시(宮體詩)의 대표작가로 성률(聲律)에 치중하여 이후 율시(律詩)의 발전에 영향을 끼침.
487~55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신(子新) - 유종덕(柳種德)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서산(瑞山). 유진태(柳振泰)의 아들이며, 유학 유약(柳瀹)과 유협(柳浹)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무신
-
자신(子新)@이명 - 이명(李銘)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를 지낸 이경충(李景忠)의 아들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152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신(子藎) - 이원효(李元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성종(成宗) 때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명숭(李命崇)의 아버지로, 충청도 감사(忠淸道監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신(自愼) - 권자신(權自愼)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거열형(車裂刑)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신(自新)@유자신 - 유자신(柳自新)
조선 제15대 광해군(光海君)의 국구(國舅). 유잠(柳潛)의 아들이자 이담(李湛)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宣祖)와 세자 광해군을 호종함.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 등을 지내고, 광해군 즉위 후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에 봉해짐.
1541~161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신(自新)@정자신 - 정자신(鄭自新)
고려 말~조선 초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인 정식(鄭軾)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자신(自新) - 이익(李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실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농사상(中農思想)에 기반을 두고, 한전론(限田論)ㆍ사농합일론(士農合一論) 등의 사회 개혁론을 주장함. 천문ㆍ지리ㆍ율산(律算)ㆍ의학 등에 능통하고, 저서로 《성호사설(星湖僿說)》ㆍ《곽우록(藿憂錄)》등이 있음.
1681~1763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운산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
-
자신(自新)@윤자신 - 윤자신(尹自新)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식(尹湜)의 아들로, 정여립(鄭汝立)의 역모사건 때 정즙(鄭緝) 등을 체포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고 종묘의 신주를 잘 보존하여 죽은 뒤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추록됨.
1529~16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신거사(自信居士) - 서긍(徐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1123년(인종 1)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개경(開京)에 1개월간 머무르고, 귀국 후 《고려도경(高麗圖經)》40권을 지어 고려의 실정을 송 나라에 소개함.
1091~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실(子實) - 박영(朴英)@조선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무과(武科)에 급제했으나 학문에 전념함. 성리학(性理學)뿐만 아니라 역학(易學)ㆍ천문(天文)ㆍ의술(醫術)에도 조예가 깊었음.
1471~154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자실(子實)@이수 - 이수(李秀)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김일손(金馹孫)과 금란계(金蘭契)를 결성하여 교유하였으며, 금천도 찰방(金泉道察訪)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자실(子實)@위섬지 - 위섬지(魏掞之)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자(朱子)와 교유하였음. 포의(布衣)로 발탁되어 벼슬이 태학록(太學錄)에 이름. 사부(詞賦)를 폐(廢)하기를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떠나 독서에 전념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실(子實)@조세영 - 조세영(趙世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조지부(趙之孚)의 아들. 학문이 널리 알려져 1535년에 조사수(趙士秀) 등과 함께 사유록(師儒錄)에 올랐고, 사성(司成)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심(子深)@허준 - 허준(許浚)
조선 전기의 유학. 최연(崔演)의 《간재집(艮齋集)》에, 그에 대해 쓴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심(子深) - 신계원(愼繼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창녕 현감(昌寧縣監)ㆍ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자심(子深)@임원준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아(子我) - 재여(宰予)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어학에 뛰어나 제(齊) 나라의 임묘 대부(臨苗大夫)가 되었음.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자공(子貢)과 함께 변설(辯舌)로 유명함.
B.C.522~B.C.45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아(自阿) - 홍자아(洪自阿)
조선 예종(睿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원숙(洪元淑)의 아들로, 1469년(예종 1) 추장시(秋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안(子安)@남이공 - 남이공(南以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으로, 남호(南琥)의 아들. 선조 때 이발(李潑)ㆍ정인홍(鄭仁弘) 등과 함께 북인(北人)의 우두머리로서 영의정(領議政) 유성룡(柳成龍)을 탄핵ㆍ파직시킴.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를 지냄.
1565~164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