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영(子英)@이계준 - 이계준(李繼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연안(延安). 이구령(李九齡)의 아들로, 거창(居昌)에 은거하여 시와 술을 즐기며 유유자적함.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묘갈(墓碣)이 실려 있음.
1490~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문사>문인
-
자영(子英) - 김한웅(金漢雄)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김제(金濟)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영(自英)@이자영 - 이자영(李自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건공장군(建功將軍) 이주(李湊)의 아들이며, 일재(一齋) 이항(李恒)의 아버지로, 의영고 주부(義盈庫主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자영(自英) - 박자영(朴自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박진(朴稹)의 아들로, 1534년(중종 29) 식년시(式年試)와 1538년(중종 33) 탁영시(擢英試)에 급제하고, 정랑(正郞)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자영(自瑩)@오세우의아버지 - 오자영(吳自瑩)@오세우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정언(正言)을 지낸 오세우(吳世祐)의 아버지로, 함경도 병마수군우후(咸鏡道兵馬水軍虞侯)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무신
-
자영(自瑩)@조선전기 - 오자영(吳自瑩)@조선전기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구성 부사(龜城府使) 등을 지냄. 조위(曺偉)가 중국으로 사신 갈 때 의주(義州)에서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자예(子藝) - 한사문(韓斯文)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계희(韓繼禧)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공을 세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등을 지냄.
1446~150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예(子藝)@도응 - 도응(都膺)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성계(李成桂)의 죽마지우(竹馬之友)로, 고려 말에 찬성사(贊成事)를 지내다가 조선 건국 후 상장군(上將軍)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은거함.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ㅣ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자오(子午) - 공자오(公子午)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문신. 영윤(令尹)이 된 후 선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정(鄭) 나라를 정벌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루지 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오(子敖) - 기자오(奇子敖)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무신. 본관은 행주(幸州). 기철(奇轍)의 아버지. 음보(蔭補)로 총부산랑(摠部散郞)을 지내고, 원(元) 나라 순제(順帝)의 황후가 된 막내딸 기황후(奇皇后)로 인해 원 나라로부터 영안왕(榮安王)에 추봉(追封)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무신
-
자오(子烏) - 김익(金翼)
조선 전기의 문신. 양촌(陽村) 권근(權近)과 교유했으며, 양촌이 김익을 희롱한 〈흑옹행(黑翁行)〉이 《양촌집(陽村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자오당(自娛堂) - 이규보(李奎報)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여주(驪州). 최씨무인정권(崔氏武人政權)의 대표적 문인으로, 《백운소설(白雲小說)》ㆍ《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ㆍ〈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은 작품과 저서를 남김.
1168~124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자옥(子玉)@유자옥 - 유자옥(兪子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임훈(林薰)의 《갈천집(葛川集)》에 그의 〈유두류록(遊頭流錄)〉에 대해 쓴 글이 실려 있으며,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도 그와 함께 용유담(龍遊潭)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옥(子玉)@최원 - 최원(崔瑗)
중국 후한(後漢)의 문인ㆍ서예가. 문사(文辭)에 능하고, 장제(章帝) 때 두도(杜度)의 글씨체를 이어 장초(章草)를 잘 씀.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자옥(子玉) - 관종(觀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초(楚) 나라의 대부. 관기(觀起)의 아들로, 성왕(成王) 때 성복(城濮)의 전역에 나갔다가 진(晉) 나라에 패해 돌아오는 길에 자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옥(自玉) - 성석용(成石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자 성석린(成石璘)의 아우로, 고려 때 밀직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에 공이 있어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옥산인(紫玉山人) - 이언적(李彦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주(驪州). 중종 때 김안로(金安老)의 등용을 반대하다가 숙청되고, 명종 때 양재역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배소에서 죽음.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이황(李滉)의 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49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온(子溫)@김덕장 - 김덕장(金德璋)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강릉(江陵). 구사맹(具思孟)ㆍ이이(李珥)ㆍ이우(李瑀) 등과 교유하여, 《팔곡집(八谷集)》ㆍ《율곡전서(栗谷全書)》ㆍ《옥산시고(玉山詩稿)》에 시(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자온(子溫)@황린 - 황린(黃璘)@황귀수의아들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문장가로 이름을 떨치고, 정붕(鄭鵬), 김일손(金馹孫) 등과 도의로 사귐. 1477년(성종 8)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자온(子溫)@윤옥 - 윤옥(尹玉)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사익(尹思翼)의 아들이며 순회세자(順懷世子)의 장인으로,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등을 지냄.
1511~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