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원(子元)@권박 - 권박(權博)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낸 권령(權齡)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도화서 별제(圖畫署別提)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1475~154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원(子元) - 경제(景帝)@남북조(晉)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대장군. 조카인 무제(武帝) 사마염(司馬炎)이 왕위를 찬탈하여 진(晉)을 세운 뒤 경제(景帝)로 추존함.
208~255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자원(子元)@서거정 - 서거정(徐居正)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天文) 등 여러 방면에 정통하고, 문장과 글씨에 능함. 《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東國通鑑)》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동인시화(東人詩話)》ㆍ《동문선(東文選)》등을 저술함.
1420~14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원(子元)@주박 - 주박(朱博)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무신. 절친한 벗인 소육(蕭育)과 서로 추천하여 높은 벼슬에 올랐으며, 기주 자사(冀州刺史) 등을 지내면서 뛰어난 일 처리 능력을 인정받음. 《한서(漢書)》에 전(傳)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원(子圓) - 홍여방(洪汝方)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길민(洪吉旼)의 아들.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원(子源) - 홍연(洪演)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홍척(洪陟)의 아들. 1444년(세종 2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집의(執義)를 지냈으나 불교를 배척하다 파출되고, 이듬해 복직되었으나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하자 종신토록 자취를 감춤.
14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원(子遠)@손준 - 손준(孫峻)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ㆍ종친. 손공(孫恭)의 아들로, 태상경(太常卿) 등윤(滕胤)과 함께 오왕(吳王) 손량(孫亮)을 꾀어 대장군(大將軍) 제갈각(諸葛恪)을 제거한 후 권력을 장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자원(子遠) - 정전(鄭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윤운(鄭允耘)의 아들로, 정형운(鄭亨耘)에게 출계함. 1509년(중종 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등을 지냄.
1475~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자원(子遠)@황기준 - 황기준(黃起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호분위 부호군(虎賁衛副護軍)을 지낸 황열(黃悅)의 아버지로,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위(子▼(由/巴)) - 정분(鄭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토목에 조예가 깊어 궁궐 조성과 축성, 현릉(顯陵) 조성 등을 감독함. 우의정에 재직 중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 낙안(樂安)에 안치되어 관노(官奴)가 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儒) - 장안세(張安世)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상서령(尙書令)ㆍ우장군(右將軍) 등을 지내고, 곽광(霍光)과 함께 선제를 옹립한 공로로 대사마(大司馬)가 됨. 선제가 기린각(麒麟閣)에 공신의 초상을 그릴 때 곽광ㆍ한증(韓增)과 함께 그려짐.
?~B.C.6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유(子幼) - 양운(楊惲)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때의 문신. 사마천(司馬遷)의 외손으로, 곽씨(霍氏)의 모반(謀反)을 고변하여 열경(列卿)에 오르고 평통후(平通侯)에 봉해짐.
?~B.C.5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有)@유색 - 유색(柳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유영립(柳永立)의 아들. 근친인 소북(小北)의 영수 유영경(柳永慶)이 전랑(銓郞)에 추천하였으나 사양하였으며,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재임 시절 권신 한계남(韓繼男)을 탄핵함.
1561~16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有)@김흥경 - 김흥경(金興慶)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김두성(金斗星)의 아들. 숙종 때 대사간(大司諫) 등을 역임하다가 경종(景宗) 때 신임사화(申壬士禍)에 관련되어 파직되었으나, 영조 등극 후 영의정(領議政)에 이름.
1677~175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有) - 염구(冉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계강자(季康子)의 가신.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정치방면에 탁월한 재능을 지님.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유(子有)@유약 - 유약(有若)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자의 모습과 닮아 공자가 죽은 뒤 제자들이 그를 스승처럼 섬기려 하였으나 증삼(曾參)의 반박으로 무산됨.
B.C.5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유(子有)@남이신 - 남이신(南以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참판 남호(南琥)의 아들이자, 이조 판서 남이공(南以恭)의 형으로, 경기 감사(京畿監司) 시절에 주문사(奏聞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562~160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有)@최유지 - 최유지(崔攸之)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삭녕(朔寧).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최온(崔薀)의 아들로, 사간(司諫) 등을 지냄.
1603~167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삭녕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柔)@한확 - 한확(韓確)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성종(成宗)의 외할아버지. 누이가 명(明) 나라 성조(成祖)의 여비(麗妃)가 되어 명 나라의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에 임명되고, 1455년(세조 1) 좌의정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1403~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유(子柔) - 이위(李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태천 현감(泰川縣監) 이윤검(李允儉)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