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유(子游)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游)@언언 - 언언(言偃)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노 나라 무성(武城)에서 예악(禮樂)으로 고을을 잘 다스림. 자하(子夏)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났고 예(禮)의 사상이 투철함.
B.C.506~B.C.44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유(子猶) - 양구거(梁丘據)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경공(景公) 때의 대부. 경공의 총애를 받았으며, 경공이 노(魯) 나라 정공(定公)과 회동할 때 경공을 따라 그 자리에 참석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유(子猷) - 왕휘지(王徽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
?~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자유(子猷)@정숭 - 정숭(鄭崇)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상서 복야(尙書僕射)로 발탁된 뒤 가죽신발을 신고 소리를 내면서 왕 앞에 나와 직간(直諫)을 자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瑜) - 제갈근(諸葛瑾)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무신. 제갈각(諸葛恪)의 아버지이자 제갈량(諸葛亮)의 형. 손권(孫權)에게 신임을 얻고, 촉(蜀) 나라에 사신으로도 많이 활동했으며 예주목(豫州牧) 등을 지냄.
174~24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유(子由)@김자유 - 김자유(金子由)
고려 후기의 유학. 이규보(李奎報)와 교유하였고,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를 위해 지은 시가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유(子由) - 소철(蘇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학자. 소순(蘇洵)의 아들이자 소식(蘇軾)의 동생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복귀 후 문하시랑(門下侍郞) 등을 지냄.
1039~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유(子由)@권규 - 권규(權逵)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사직공(司直公) 권시득(權時得)의 아들이며, 권문현(權文顯)ㆍ권문임(權文任)ㆍ권문언(權文彦)ㆍ권문저(權文著)의 아버지. 청향당(淸香堂) 이원(李源)과 교유함.
1496~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자유(子由)@김부의 - 김부의(金富儀)@고려
고려 문종(文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국자좨주 좌간의대부(國子祭酒左諫議大夫) 김근(金覲)의 아들. 1134년(인종 12) 형인 김부식(金富軾)과 함께 묘청(妙淸)의 반란을 평정함.
1079~113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由)@김광철 - 김광철(金光轍)@조선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심언광(沈彥光)ㆍ기준(奇遵) 등과 교유함.
1493~1550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裕) - 김연(金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받아 좌천되었다가 복귀하여 사간(司諫)을 지냄.
1487~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遊) - 정숭(鄭崇)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상서 복야(尙書僕射)로 발탁된 뒤 가죽신발을 신고 소리를 내면서 왕 앞에 나와 직간(直諫)을 자주 하였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유(子酉) - 김언경(金彦庚)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가하여 공을 세웠음.
1433~150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무신
-
자유(自由) - 성석인(成石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성여완(成汝完)의 아들이며, 성석린(成石璘)ㆍ성석용(成石瑢)의 아우로, 고려 때 경연강독관(經筵講讀官) 등을 지내고 조선 건국 후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자유(自裕) - 안자유(安自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안임(安恁)의 아들로, 안명세(安名世)와 절친함. 《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냄.
1517~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관인>문신
-
자윤(子允) - 김수손(金首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거쳐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역임했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진(撰進)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자윤(子潤)@유종인 - 유종인(柳種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서산유씨(瑞山柳氏) 28세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청주 목사(淸州牧使)를 지낸 유섭(柳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자윤(子潤)@이영 - 이영(李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명종 때 경연(經筵)에 참가하여 명(明) 나라가 우리나라의 사신 접대를 소홀히 함을 지적하고 북경(北京)과의 무역금지를 건의함.
1501~155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자윤(子潤) - 유자(柳滋)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유순정(柳順汀)의 아들로 황간 현감(黃澗縣監)ㆍ금구 현령(金溝縣令) 등을 지냈음.
1491~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