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윤(子胤)@김직손 - 김직손(金直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을 지낸 김회윤(金懷允)의 아들로, 《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고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등을 지냈음.
1437~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자윤(子胤) - 김수손(金首孫)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거쳐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역임했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을 찬진(撰進)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자융(子融) - 서소연(徐昭然)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더불어 성리설(性理說)에 대해 논변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은군(慈恩君) - 의선(義旋)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로, 무외국사(無畏國師)에게 법(法)을 받고 원(元) 나라에 건너가 천원(天源) 연성사(延聖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본국 영원사(瑩原寺)의 주지를 겸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종교인>승려
-
자은종(慈恩宗) - 법상종(法相宗)
중국 당(唐) 나라의 현장(玄奬)ㆍ규기(窺基)에 의해 성립한 유식사상(唯識思想) 계통의 불교종파. 존재의 공성(空性)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석해 설명함.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의 태현(太賢)을 초조로 삼음.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자응(子應) - 윤희인(尹希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준정(尹俊丁)의 아들로, 남곤(南袞)ㆍ심정(沈貞) 등과 함께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한 사림파의 신진세력을 배척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1465~153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자응(子膺)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의(子儀) - 곽자의(郭子儀)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현종 때 삭방절도사(朔方節度使)가 되어 이광필(李光弼)과 함께 안사(安史)의 난을 평정하고, 회흘(回紇:위구르)과 손잡고 토번(吐蕃:티베트)을 정벌함.
697~78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자의(子宜)@서의 - 서의(徐誼)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 보모각 대제(寶謨閣待制) 등을 지냈으며, 지임안부사(知臨安府事)로 있을 때 조여우(趙汝愚)가 정승에서 파직되자 항론(抗論)하여 유임하게 함.
1144~120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의(子宜) - 민유의(閔由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충선왕 때 첨의정승(僉議政丞)을 지낸 민지(閔漬)의 증손으로, 증문하찬성사(贈門下贊成事) 민선(閔璿)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자의공신휘헌강인정숙온혜장렬왕후(慈懿恭愼徽獻康仁貞肅溫惠莊烈王后) - 장렬왕후(莊烈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계비(繼妃). 본관은 양주(楊州)로,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조창원(趙昌遠)의 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예송(禮訟) 논쟁에 휘말림. 능은 휘릉(徽陵).
1624~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의대비(慈懿大妃) - 장렬왕후(莊烈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계비(繼妃). 본관은 양주(楊州)로,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조창원(趙昌遠)의 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예송(禮訟) 논쟁에 휘말림. 능은 휘릉(徽陵).
1624~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의전(慈懿殿) - 장렬왕후(莊烈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계비(繼妃). 본관은 양주(楊州)로,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조창원(趙昌遠)의 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예송(禮訟) 논쟁에 휘말림. 능은 휘릉(徽陵).
1624~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자이(自邇) - 안초(安迢)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안계인(安季仁)의 아들이며, 안자성(安子誠)의 아버지로, 세조(世祖) 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1420~148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이당(自怡堂)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익(子益)@김창흡 - 김창흡(金昌翕)
조선 현종(顯宗)~경종(景宗) 때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영의정(領議政) 김수항(金壽恒)의 셋째 아들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산수를 즐기다가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아버지가 사사되자 영평(永平)에 은거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여 학자로 이름을 떨침.
1653~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자익(子益) - 어세겸(魚世謙)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로, 예종(睿宗)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봉해지고 좌의정 등을 지냄. 학식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비하였다 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익(子益)@이겸 - 이겸(李謙)@이맹지의아들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장령(掌令)으로서 유운(柳雲)ㆍ조광조(趙光祖) 등을 변호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자익(子翼)@사마량 - 사마량(司馬亮)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 혜제(惠帝) 때의 왕족. 선제(宣帝) 사마의(司馬懿)의 아들로 태재(太宰) 등을 지냈으나, 혜제의 황후 가씨(賈氏)에게 죽임을 당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자익(子翼) - 구순(寇恂)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공신. 광무제의 28장(將) 중 한 사람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어 고을 백성들의 칭송을 받은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