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정(子精)@정탁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精)@이양중 - 이양중(李養中)@고려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형조 참의(刑曹參議)를 역임하였으며,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고향에 은거하여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貞) - 검루(黔婁)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사(隱士). 지절(志節)을 숭상하여 노(魯) 나라의 공공(恭公)이 곡식 3천 종(鐘)을 하사하였으나 받지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자정(子靜)@김양행 - 김양행(金亮行)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민우수(閔愚洙)의 문인으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고, 이우신(李友信)ㆍ민치복(閔致福)ㆍ박준원(朴準源) 등을 배출함.
1715~177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이곤 - 이곤(李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인문(李仁文)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1506년(중종 1)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되었으나 1519년(중종 14)에 삭록됨. 철원 부사(鐵原府使)ㆍ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462~152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 - 김진양(金震陽)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이성계(李成桂)를 제거하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됨.
?~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이인 - 이인(李仁)@1465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아들인 이기(李祺)의 사건에 연좌되어 남해(南海)에 유배됨.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되고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65~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자정(子靜)@육구연 - 육구연(陸九淵)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광종(光宗) 때의 문신ㆍ학자. 지형문군(知荊門軍) 등을 지냄. 주희(朱熹)의 성즉리설(性卽理說)에 반대하여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장하고, 저서로 《상산선생전집(象山先生全集)》을 남김.
1139~119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염복 - 염복(閻復)
중국 원(元) 나라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강엽(康曄)의 문인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절서도 숙정염방사(浙西道肅政廉訪使) 등을 지냄.
1236~1312 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정(子靜)@이립 - 이립(李岦)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대의 문신. 진보 현감(眞寶縣監)을 지내고, 이춘영(李春英) 등과 교유함. 이춘영을 방문했다가 헤어질 때 주고받은 시가 《체소집(體素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자정(自埥) - 김자정(金自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中宗) 때 청백리(淸白吏)로 이름 난 김연수(金延壽)의 아버지로, 의영고 직장(義盈庫直長)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자정자(子程子) - 정호(程顥)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태중대부(太中大夫) 정향(程珦)의 아들로, 아우 정이(程頤)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송 나라 이학(理學)의 기초를 마련함.
1032~108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정자(子程子)@정이 - 정이(程頤)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예종(睿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향(程珦)의 아들로, 형 정호(程顥)와 함께 주돈이(周敦頣)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이기(理氣)의 철학을 제창하여 유교 도덕에 철학적 기초를 부여함.
1033~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조(子朝) - 고죽군(孤竹君)
중국 은(殷) 나라 고죽국(孤竹國)의 군주.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아버지.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자조(子朝)@왕자조 - 왕자조(王子朝)
중국 주(周) 나라의 왕자. 제24대 경왕(景王)의 서자(庶子)로, 경왕이 죽은 후 개(匄)와 왕위를 다투고 국인(國人)들이 세운 경왕의 장자인 도왕(悼王)을 죽였으나, 진(晉) 나라가 개를 옹립하여 경왕(敬王)으로 삼자 초(楚) 나라로 도망감.
?~B.C.505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자종(子從) - 곽숙운(郭叔雲)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조주(潮州) 게양인(揭陽人)으로, 주희(朱熹)의 문인.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종(自宗) - 하자종(河自宗)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영의정 하연(河演)의 아버지로, 고려 말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절개를 지키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세종 때 판청주목사(判淸州牧事) 등을 역임함.
?~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자주(子胄) - 노종(盧宗)
조선 전기의 유학. 승려 지인(志仁)이 그를 통해 김인후(金麟厚)에게 시(詩)를 지어 줄 것을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주(子舟) - 김윤제(金允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유학. 강응정(姜應貞) 등과 향약(鄕約)을 맺어 《소학(小學)》을 강론하였는데, 세상 사람들이 소학계(小學契)ㆍ효자계(孝子契)라고 칭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자주(慈州) - 순천(順川)
평안남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안국사(安國寺)ㆍ자모산성(慈母山城)ㆍ이성(泥城) 등의 사적이 있음.
평안도>순천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