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자주(慈舟) - 지엄(智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승려. 1491년(성종 22)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출가하여 불도를 닦아 불교계의 종사(宗師)가 됨. 문인 영관(靈觀)ㆍ원오(圓悟) 등에게 대승경론(大乘經論) 등을 강의하였음.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종교인>승려
-
자주자(子朱子) - 주희(朱熹)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송대(宋代) 유학자들의 학설을 집성 정리해서 공전(空前)의 사변철학(思辨哲學)과 실천윤리(實踐倫理)의 체계를 확립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함. 《사서집주(四書集注)》등 많은 저서가 있음.
1130~12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자준(子俊)@여자준 - 여자준(余子俊)
중국 명(明) 나라 대종(代宗)~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성을 쌓고 보루를 만드는 데 큰 공을 세움.
1429~148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준(子俊) - 이계동(李季仝)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평창(平昌)으로,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이계남(李季男)의 아우. 이극균(李克均)과 함께 《서북제번기(西北諸藩記)》ㆍ《서북지도(西北地圖)》 등을 찬진하였으며, 관직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에 이름.
1450~150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무신
-
자준(子峻) - 김령(金坽)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유성룡(柳成龍)의 막하로 자진하여 종군하였고, 인조반정(仁祖反正) 후 장령(掌令)ㆍ집의(執義)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음.
1577~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자준(子濬)@한명회 - 한명회(韓明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ㆍ성종의 국구(國舅).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
141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자준(子濬)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자준(子駿)@선우신 - 선우신(鮮于侁)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문신. 절동 전운사(浙東轉運使)로 떠날 때, 사마광(司馬光)이 동쪽 지역의 폐해를 구제하는 것은 선우신이 아니면 불가능하니 그야말로 일로(一路)의 복성(福星)이라고 말한 고사가 있음.
1019~108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자준(子駿) - 유흠(劉歆)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ㆍ학자. 유향(劉向)의 아들로, 황실의 도서를 교감하고 관리하였으며, 중국 최초의 도서목록인 《칠략(七略)》를 편찬함. 뒤에 왕망(王莽)이 국사(國師)로 삼았으나 그를 모살하려다 실패하여 자살함.
B.C.53?~A.D.2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자중(子中)@왕동 - 왕동(王同)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동학 정관(丁寬) 등과 함께 전하(田何)로부터 《주역(周易)》을 전수받아 양하(楊何) 등의 제자에게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처후(處厚) - 김인존(金仁存)
고려 선종(宣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중국에 여러 번 사신으로 다녔으며, 중요한 국사(國事)마다 왕의 자문역을 했음.
?~1127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척(倜)@허척 - 허척(許倜)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하양(河陽).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허귀룡(許貴龍)의 셋째 아들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 , 인명>관인>문신
-
척(倜) - 조척(曺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하였고, 함창(咸昌)의 원으로 있을 때 함녕루(咸寧樓)를 중수함. 기문(記文)이 종형(從兄)인 조위(曺偉)의 《매계집(梅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척(惕) - 정척(鄭惕)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호조 참판 정언각(鄭彦慤)의 아들. 1549년(명종 4)의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승지(承旨)ㆍ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냄.
1517~1596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척(脊) - 노척(盧脊)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노사흔(盧士訢)의 아들이며, 대군사부(大君師傅) 노형필(盧亨弼)의 아버지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척(陟)@홍척 - 홍척(洪陟)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집의(執義) 홍연(洪演)의 아버지로, 중군사(中軍司)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무신
-
척(陟) - 윤척(尹陟)
고려 충정왕(忠定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윤안숙(尹安淑)의 아들로, 우부대언(右副代言)을 지냈으며,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수도를 수복한 공으로 공신(功臣)에 책록됨.
?~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척(陟)@정책 - 정척(鄭陟)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성근(鄭誠謹)의 아버지로, 수문전 태학사(修文殿太學士)를 지냄. 해자(楷字)와 전자(篆字)에 뛰어나 새보(璽寶)와 관인(官印)을 다수 제작하고,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어 많은 의제(儀制)를 찬(撰)함.
1390~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척금(滌襟) - 허광(許礦)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우의정(右議政)을 지낸 허종(許琮)의 아들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강릉 부사(江陵府使) 등을 지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척기(拓基) - 유척기(兪拓基)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김창집(金昌集)의 문인으로, 소론(少論)의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노론(老論) 집권 때 영의정 등을 지냄.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사사된 김창집ㆍ이이명(李頤命)을 복관시킴.
1691~176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