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천(蕆) - 김천(金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낸 김영후(金永煦)의 아들로,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천(蕆)@신천 - 신천(辛蕆)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안향(安珦)의 문인으로 스승을 문묘(文廟)에 종사하게 하였으며, 지공거(知貢擧)를 거쳐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3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천(蕆)@한천 - 한천(韓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도첨의사사(都僉議司事)를 지낸 한대순(韓大淳)의 아들로, 고려에서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遷)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천^고(遷^固) - 반^마(班^馬)
중국 전한(前漢) 때 《사기(史記)》를 저술한 사마천(司馬遷)과 후한(後漢) 때 《한서(漢書)》를 저술한 반고(班固)를 함께 부르는 말.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천^낙^삭(川^洛^朔) - 삭^촉^낙(朔^蜀^洛)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수구파(守舊派)인 삭당(朔黨)ㆍ촉당(蜀黨)ㆍ낙당(洛黨)을 함께 부르는 말. 낙당은 정이(程頤), 촉당은 소식(蘇軾), 삭당은 유지(劉摯)를 영수로 삼아 치열한 정쟁(政爭)을 벌임. 원우삼당(元祐三黨)으로 불림.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천각(天覺) - 이달존(李達尊)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이제현(李齊賢)의 아들로, 충혜왕이 원(元) 나라에 잡혀갈 때 아버지와 함께 배종하였다가, 충혜왕이 복위하자 전리 총랑(典理摠郞)이 되어 이듬해 귀국하던 도중 병사함. 문장이 뛰어남.
1313~134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천강(天江)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천강(天降) - 문천강(文天降)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영평개국남(永平開國男) 문탁(文倬)의 아들로, 문하시중 찬성사(門下侍中贊成事)ㆍ태사(太師)ㆍ태부(太傅)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천개소문(泉蓋蘇文) - 연개소문(淵蓋蘇文)
고구려 말기의 재상ㆍ무신. 혼란한 고구려 말기에 정권을 잡아 자신을 제거하려는 대인(大人)들을 모두 제거하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하여 대막리지(大莫離支)에 오름.
?~665 한국>고구려 , 인명>관인>무신
-
천거과(薦擧科) - 현량과(賢良科)
조선 중종(中宗) 때 조광조(趙光祖)의 건의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여, 과거제도 대신 대책(對策)을 시험보아 선발한 관리등용제도. 1519년(중종 15) 처음 시행되어 28명을 선발하였으나 조광조가 실각하면서 폐지됨.
1519 한국>조선전기 , 법제>제도
-
천건(天健) - 최천건(崔天健)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조 판서 등을 지냄. 유영경(柳永慶)과 결탁한 일로 정인홍(鄭仁弘) 등의 모함을 받아 삭직되었다가 복관되었으나, 후에 김제남(金悌男)의 일파로 몰려 온양에 안치되었다가 죽음.
1568~161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천경(千璟) - 홍천경(洪千璟)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임진왜란 때 김천일(金千鎰)의 진중에서 군량의 수집과 수송을 담당하고, 정유재란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의병모집의 격문을 작성하였으며, 중추부 첨지사(中樞府僉知事) 등을 지냄.
155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천경(天卿) - 박천경(朴天卿)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형인 송은(松隱) 박익(朴翊)과 함께 낙향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천경(天慶) - 이천경(李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본관은 합천(陜川).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봉양을 위해 관직을 사양했으며, 저서로 《일신당집(日新堂集)》이 있음.
1537~16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문인
-
천경(天擎) - 송정황(宋庭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동복 현감(同福縣監) 송구(宋駒)의 아들이고 구례 현감(求禮縣監) 송정순(宋庭筍)의 동생으로, 교서관 정자(校書館正字)를 지냄.
153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천계(天啓)@우천계 - 우천계(禹天啓)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단양(丹陽). 찬성사(贊成事) 우제(禹磾)의 아버지이며, 우천규(禹天珪)의 동생으로, 판서(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문신
-
천계(天啓)@이천계 - 이천계(李天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평(新平). 좌의정 홍언필(洪彦弼)을 논핵(論覈)하였다가 이기(李芑)의 배척을 받고 삭탈관직되었으며, 정미사화(丁未士禍) 때 다시 이기의 무고를 받아 영해부(寧海府에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천계(天桂) - 영성대군(永城大君)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형.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과 의혜왕후(懿惠王后) 사이의 장남.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길재(吉再)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며 경리(經理)를 강론(講論)함.
1333~1392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종친
-
천계제(天啓帝) - 희종(熹宗)
중국 명(明) 나라의 제15대 황제. 재위 1620~1627. 이 시기에 악명 높은 환관 위충현(魏忠賢)이 조정을 장악하여 나라가 쇠락해짐.
1605~1627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