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천상(天常) - 숙종(肅宗)@고려
고려 제15대 국왕. 재위 1095~1105. 조카인 헌종(獻宗)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李資義)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禪位)를 받아 왕위에 오름.
1054~110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천상(天相) - 이천상(李天相)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전의(全義)로, 통덕랑(通德郞) 이군정(李君靖)의 아들. 배유장(裵幼樟)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정통함.
1637~17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천상(天祥)@고흥운 - 고흥운(高興雲)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고윤종(高胤宗)의 아들로, 1570년(선조 3) 식년시 문과(式年試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천상(天祥) - 이광정(李光庭)@1674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원주(原州). 문장(文章)과 학술(學術)로 중망을 얻어 여러 번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사양하고 산림에 묻혀 후학 교육에 전념함.
1674~175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천상(天祥)@봉천상 - 봉천상(奉天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하음(河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희릉 참봉(禧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기묘사화에 조광조의 일당으로 연좌되어 삭탈관직되고 안당(安瑭)과 함께 변란을 모의했다는 죄로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배천 , 인명>관인>문신
-
천상(天祥)@문천상 - 문천상(文天祥)
중국 남송(南宋) 때의 문신ㆍ시인. 지방관으로 있을 때 천도를 반대하는 글을 올려 면직됨. 송 나라 멸망 후 옥중(獄中)에서 지은 〈정기가(正氣歌)〉로 유명함.
1236~1282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천상(天祥)@은천상 - 은천상(殷天祥)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道士). 환술(幻術)을 이용하여 제철이 아닌 때에 학림사(鶴林寺)의 두견화(杜鵑花)를 피게 하였다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천상(天祥)@박천상 - 박천상(朴天祥)
고려 공민왕(恭愍王)~창왕(昌王) 때의 무신.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를 역임하였으며, 이숭인(李崇仁)ㆍ하륜(河崙) 등과 함께 영흥군(永興君) 환(環)의 진위(眞僞) 문제를 변론하다가 무고 혐의로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
-
천상(川上) - 윤휘(尹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두수(尹斗壽)의 셋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의 특명전권대사(特命全權大使)로 청(淸) 나라와의 강화조약을 체결하는 등, 청 나라와의 외교를 전담함.
1571~164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천상김씨(川上金氏) - 의성김씨(義城金氏)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들이자 고려 태조(太祖)의 외손으로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진 김석(金錫)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집단>성씨
-
천서(天瑞)@안천서 - 안천서(安天瑞)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성리학(性理學)에 대해 토론하였으며, 성혼(成渾)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천서(天瑞)@권몽참 - 권몽참(權夢參)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교유했고 매화를 좋아하였는데, 권호문이 그가 매화를 얻은 것에 대해 축하하는 시가 《송암집(松巖集)》에 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천서(天瑞) - 열어구(列禦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 도가(道家)를 확립시킨 인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실존하였는지는 확실치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천서(天瑞)@유범휴 - 유범휴(柳範休)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노애(蘆厓) 유도원(柳道源)의 아들.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으로, 안변 부사(安邊府使)를 역임했음.
1744~18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천서(天瑞)@나천서 - 나천서(羅天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이성계(李成桂)가 요동을 정벌하고 귀환할 때 아사지경(餓死之境)에 이른 군사를 생환시킨 공으로 안정백(安定伯)에 봉해짐. 안정나씨(安定羅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천서(天瑞)@김천서 - 김천서(金天瑞)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조선 제2대 왕 정종(定宗)의 비(妃)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아버지로,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천석(天錫)@배천석 - 배천석(裵天錫)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해(興海)로, 임연재(臨淵齋) 배삼익(裵三益)의 아버지. 중종 때 천거로 의서습독관(醫書習讀官)에 임용되었고, 충좌위 부사과(忠佐衛副司果)를 지냄.
1511~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흥해 , 인명>관인>문신
-
천석(天錫)@홍천석 - 홍천석(洪天錫)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홍경우(洪儆禹)의 아버지로, 1616년(광해군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75~?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곽산 , 인명>문사>유학
-
천석(天錫)@원천석 - 원천석(元天錫)
고려 말~조선 초의 은사(隱士). 본관은 원주(原州)로,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태종(太宗)이 즉위하여 불렀으나 응하지 않았으며, 태종이 그의 집을 찾아가도 산속으로 피하여 은둔함.
133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은자
-
천석(天錫)@심귀령 - 심귀령(沈龜齡)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산(豊山).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봉해졌으며,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를 역임함.
1349~14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