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천석(天錫)@허천석 - 허천석(許天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유학 허흠(許欽)의 아들로, 주세붕(周世鵬)의 문하에서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천선(千善) - 이천선(李千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참지중서정사(參知中書政事)를 지냈으며,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이 주살된 사실을 원(元) 나라에 보고한 공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空) 주국(柱國)이 되어 낙안백(樂安伯)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천성(天成) - 김득지(金得地)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성균관 직강(行成均館直講) 김세량(金世良)의 아들. 윤두수(尹斗壽)ㆍ임운(林芸)ㆍ정황(丁熿) 등과 교유하여, 《오음유고(梧陰遺稿)》ㆍ《첨모당집(瞻慕堂集》ㆍ《유헌집(游軒集)》에 차운시(次韻詩)ㆍ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천성(天成)@탁천성 - 탁천성(卓天成)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낸 탁사정(卓思正)의 둘째 아들로, 한성 윤(漢城尹)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천성(川城) - 안동(安東)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주(慶州)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大邑)으로 정치ㆍ행정ㆍ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으며, 유교 문화의 본고장임.
경상도>안동 , 지명>행정지명
-
천성(淺城)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천손(千孫) - 김천손(金千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진도(珍島). 중종(中宗) 때의 진사 김초(金軺)의 아버지로, 어모장군(禦侮將軍)을 역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천손(天孫) - 직녀(織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여자 주인공. 견우(牽牛)와 만나느라 베 짜는 일을 게을리 한 벌로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헤어지게 되었는데, 칠월 칠석(七夕)에야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한 번 만난다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천수(千壽) - 이천수(李千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셋째 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천수(千壽)@허천주 - 허천수(許千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참봉(參奉)을 지내고, 저서로 《천산재유집(天山齋遺集)》을 남김. 경상도 고성(固城)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됨.
1509~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천수(天授) - 초정(譙定)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에게 《역(易)》을 배워 호헌(胡憲)ㆍ유면지(劉勉之) 등을 가르치고, 《초자역전(譙子易傳)》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천수자(天隨子) - 육귀몽(陸龜蒙)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 육경(六經)과 《춘추(春秋)》에 통달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송강(松江)의 보리(甫里)에 은거하여 유유자적함. 시재(詩才)가 뛰어나 피일휴(皮一休)와 더불어 ‘피육(皮陸)’으로 일컬어짐.
?~88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천수현개국남(天水縣開國男) - 강감찬(姜邯贊)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興化鎭)ㆍ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함. 이부 상서(吏部尙書)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48~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수현개국후(天水縣開國侯) - 강감찬(姜邯贊)
고려 성종(成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興化鎭)ㆍ귀주(龜州)에서 크게 격파함. 이부 상서(吏部尙書)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948~103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천순(天淳) - 담화(曇華)
조선 전기의 승려. 《월정집(月汀集)》에 〈증천순비구(贈天淳比丘)〉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천순(天順)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천식(天植) - 유천식(柳天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혜적(柳惠迪)의 아들로, 순조(純祖) 때 원주(原州) 송곡서원(松谷書院)에서 유방선(柳方善)의 문집인《태재집(泰齋集)》을 중간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천심(天心) - 여궐(余闕)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북정(北庭)의 진사(進士)로서 고문(古文)으로 당세에 현달함.
1303~1358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천악(天樂)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천양(穿楊) - 백보천양(百步穿楊)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인 양유기(養由基)가 백 보(步) 밖에서 버드나무 잎에 활을 쏘면 백발백중(百發百中)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 활 쏘는 솜씨가 매우 뛰어남을 이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