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천행(天行) - 유건(柳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했음. 송순(宋純)ㆍ상진(尙震) 등과 함께 계축갑계(癸丑甲契)를 조직하여 교유함.
149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천화전(天和殿)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천황(天潢)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천황(天皇) - 옥황상제(玉皇上帝)
도가(道家)의 최고신. 중국 도교의 신들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지고 공경받음.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천후(武后) - 측천무후(則天武后)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ㆍ황제. 재위 684~705.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고종 사후에 국호를 ‘주(周)’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
625~705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비ㅣ인명>왕실>국왕
-
천휴(天休)@이유경 - 이유경(李有慶)@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문신.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목사(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천휴(天休) - 이몽규(李夢奎)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인신(李仁臣)의 아들로, 종실이었던 이모부 흥녕부정(興寧副正) 이린(李磷)에게 출계함. 사후에 명현(名賢)으로 평가받아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으며, 이이(李珥)가 지은 행장(行狀)과 김육(金堉)이 지은 전기(傳記)가 있음.
1510~156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천휴당(天休堂)@신유 - 신유(愼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위수(世子翊衛司衛率)ㆍ통례원 상례(通禮院相禮)ㆍ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천휴당(天休堂) - 이몽규(李夢奎)
조선 인종(仁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인신(李仁臣)의 아들로, 종실이었던 이모부 흥녕부정(興寧副正) 이린(李磷)에게 출계함. 사후에 명현(名賢)으로 평가받아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으며, 이이(李珥)가 지은 행장(行狀)과 김육(金堉)이 지은 전기(傳記)가 있음.
1510~156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보령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천희(千喜) - 송천희(宋千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경상도 관찰사ㆍ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역임하였고, 중종 때 하성절사(賀聖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문신
-
철(哲) - 신철(申哲)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신변(申抃)의 아우로, 1521년(중종 16)에 일어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철(徹)@괴철 - 괴철(蒯徹)
중국 전한(前漢)의 유세가(遊說家). 권변술(權變術)에 능하여 한신(韓信)도 그의 계략을 써서 제(齊) 나라를 점령하였음. 한신을 달래어 한(漢) 나라로부터 독립할 것을 권하였으나 그 말을 듣지 않은 한신이 죽자 고조(高祖)의 신하가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철(徹) - 이철(李徹)
조선 세조(世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다섯째 아들. 진법(陣法)에 밝고, 장기와 바둑을 잘 두었음.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철(澈) - 구양철(歐陽澈)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우국지사(憂國之士)로 진동(陳東)과 더불어 대신(大臣)을 비난하는 상소를 올려 직언(直言)했다는 이유로 죽임을 당함.
1091~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철(澈)@정철 - 정철(鄭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判官)을 지낸 정유침(鄭惟沈)의 아들이며, 기대승(奇大升)의 문인(門人). 예조 판서(禮曹判書)ㆍ대사간(大司諫)을 지냈고, 가사문학의 대가로 국문학에 크게 공헌함.
1536~15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창평ㅣ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철(轍)@권철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철(轍)@기철 - 기철(奇轍)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권신(權臣). 본관은 행주(幸州). 누이동생인 기황후(奇皇后)로 인해 덕성부원군(德城府院君)에 봉해졌으나 반란을 꾀하다가 주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고양 , 인명>관인>문신
-
철(轍) - 이철(李轍)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손자이며, 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철(轍)@윤철 - 윤철(尹轍)
조선 전기의 문신. 송화 현감(松禾縣監)으로 있을 때 지은 건물에 김주(金澍)가 조경헌(照鏡軒)이라 이름하고 시를 지은 것이 《우암유집(寓庵遺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철견(鐵堅)@이철견 - 이철견(李鐵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이연손(李延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35~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