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첩산사씨(疊山謝氏) - 사방득(謝枋得)
중국 송(宋) 나라 말의 학자. 국운이 기운 송 나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원(元) 나라에 잡혀가 출사(出仕)를 거부하며 단식하다가 죽음. 저서로 《문장궤범(文章軌範)》이 있음.
1226~128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첩여(婕妤) - 반첩여(班婕妤)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후궁ㆍ시인. 시가(詩歌)에 능하여 성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조비연(趙飛燕)에게 참소를 당한 후 장신궁(長信宮)에 머물면서 부(賦)를 지어 상심(傷心)을 노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후궁
-
청(淸) - 김청(金淸)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치장(金致章)의 아들. 1553년(명종 8)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선천 군수(宣川郡守)ㆍ대사간 등을 지냈으며, 박순(朴淳)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 , 인명>관인>문신
-
청(淸)@이청 - 이청(李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덕윤(李德潤)의 아들로, 1511년(중종 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지냄.
1483~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청간(淸簡)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청강(晴江) - 윤흔(尹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으로, 윤두수(尹斗壽)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成渾)의 문인. 이괄(李适)의 난(亂)ㆍ정묘호란(丁卯胡亂)ㆍ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종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64~163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청강(淸江)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강거사(淸江居士)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강사백(淸江詞伯)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강선생집(淸江先生集) - 청강집(淸江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신(李濟臣)의 시문집(詩文集). 신흠(申欽) 등의 산정(刪定)을 거쳐 간행되었으며, 이항복(李恒福)의 서문(序文)이 있음.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덕산 , 문헌>서명
-
청강선생후청쇄어(淸江先生鯸鯖瑣語)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강소설(淸江小說)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강쇄설(淸江瑣說)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강쇄어(淸江瑣語) - 후청쇄어(鯸鯖瑣語)
조선 전기 문신인 이제신(李濟臣)의 수필집(隨筆集). 우리나라의 풍속(風俗)ㆍ관습(慣習) 및 문물제도의 연혁(沿革)ㆍ고사(故事) 등이 실려 있음.
162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청강유고(淸江遺稿) - 청강집(淸江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이제신(李濟臣)의 시문집(詩文集). 신흠(申欽) 등의 산정(刪定)을 거쳐 간행되었으며, 이항복(李恒福)의 서문(序文)이 있음.
161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덕산 , 문헌>서명
-
청거령(淸渠令) - 이혜(李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로, 서원군(瑞原君) 이친(李𡩁)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청경(淸卿)@허항 - 허항(許沆)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의 일당으로 옥사를 함부로 일으키고 무고한 사림을 죽이는 등 악행을 저질렀으므로, 김안로ㆍ채무택(蔡無擇) 등과 함께 ‘정유삼흉(丁酉三兇)’으로 불림.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이담지 - 이담지(李湛之)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중국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토적병마서기(討賊兵馬書記) 등을 지냄. 조통(趙通)ㆍ이인로(李仁老) 등과 벗하여 해좌칠현(海左七賢)으로 불리고, 즉흥적으로 써내려가는 한시 창작법인 주필(走筆)의 창시자로 알려짐.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유약 - 유약(柳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신(子新) 유종덕(柳種德)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청경(淸卿)@신부 - 신부(申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아들. 영산(靈山)과 고령(高靈)의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