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청경(淸卿)@이약수 - 이약수(李若水)@송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문신.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강(靖康)의 변(變) 때 금군(金軍)에 포로로 끌려간 흠종을 보호하다가 피살됨.
1093~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정휘 - 정휘(鄭徽)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정이송(鄭而宋)의 아들로, 1465년(세조 11)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교리(校理) 등을 지냄.
14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이방직 - 이방직(李邦直)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원(西原). 시문(詩文)에 능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공민왕(恭愍王)으로부터 자(字)에 대한 어찰(御札)을 받았으며, 이색(李穡)이 지은 자찬(字讚)이 《목은고(牧隱藁))》에 실려 있음.
?~138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 - 신담(申澹)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산 현감(靈山縣監)으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세웠음. 1490년(성종 21)에 김일손(金馹孫)이 생사당기(生祠堂記)를 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청경(淸卿)@심흥원 - 심흥원(沈興源)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 심순경(沈順徑)의 아들.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청경(淸卿)@윤회 - 윤회(尹淮)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소종(尹紹宗)의 아들로,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왕명으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ㆍ《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를 편찬함.
1380~14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청계(淸溪)@안영 - 안영(安瑛)@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의 의병(義兵)에 들어가 싸우다가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청계(淸溪)@유몽정 - 유몽정(柳夢井)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유희저(柳希渚)의 손자로, 남원 현감(南原縣監) 등을 지냄. 정여립(鄭汝立)의 옥사 때 정암수(丁巖壽)ㆍ오희길(吳希吉) 등의 무고(誣告)로 인해 옥중에서 장사(杖死)함.
1529~158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청계(淸溪) - 김응회(金應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제자. 의병장 김천일(金千鎰)과 종유(從遊)했으며, 의병장 김덕령(金德齡)의 매부(妹夫). 효행이 뛰어나 정려(旌閭)됨.
1555~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청계(靑溪)@양대박 - 양대박(梁大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남원(南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아들 양경우(梁慶遇)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담양(潭陽)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高敬命)을 맹주로 추대한 뒤 종사관(從事官)으로 활동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청계(靑溪) - 김진(金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김예범(金禮範)의 아들이며 김성일(金誠一)의 아버지. 기묘명유(己卯名儒)들을 찾아 가르침을 배워 견문을 넓히고 학업에 정진함.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되고 사빈서원(泗濱書院)에 제향됨.
1500~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청계거사(淸溪居士) - 안영(安瑛)@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의 의병(義兵)에 들어가 싸우다가 전사함.
1565~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청계군(淸溪君)@한연 - 한연(韓淵)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청주(淸州)로, 서청군(西淸君) 한삼덕(韓參德)의 아들. 임진왜란 때 의주(義州)로 파천(播遷)하는 선조를 호종하여 사후에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공조 정랑(工曹正郞)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청계군(淸溪君) - 정윤겸(鄭允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군기시 첨정(軍器寺僉正)에 발탁됨. 전라도 수군절도사(全羅道水軍節度使)로 명(明) 나라를 약탈하고 돌아가는 왜구를 격멸함.
1463~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청계도인(靑溪道人) - 양대박(梁大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남원(南原).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아들 양경우(梁慶遇)와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담양(潭陽)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경명(高敬命)을 맹주로 추대한 뒤 종사관(從事官)으로 활동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청계옹(淸溪翁)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청계유고(靑溪遺稿) - 청계집(靑溪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양대박(梁大樸)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아들인 장성 현감(長城縣監) 양경우(梁慶遇)가 가장(家藏) 원고를 편차하여 간행함. 허균(許筠)의 서(序)와 양경우의 발(跋)이 있음.
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성 , 문헌>서명
-
청계자(淸溪子) - 이섭(李涉)@당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이균(李鈞)의 아들로, 동생 이발(李渤)과 함께 백록동(白鹿洞)에 은거하였다가 후에 태학 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청곡(淸谷) - 계은(戒恩)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점필재집(佔畢齋集)》과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청구(淸癯) - 임담(林墰)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남한산성에 들어가 총융청 종사관(摠戎廳從事官)이 되어 남격대(南格臺)를 수비함. 유탁(柳濯)의 난을 평정하여 토지를 하사받았으나 사양함.
1596~165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